[문화人칼럼] 음악에 부쳐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음악에 부쳐

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연출가

  • 승인 2024-03-13 17:21
  • 신문게재 2024-03-14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송전
송전 한남대 명예교수.연출가
음악의 힘은 원초적이랄 수 있다. 그리스 신화 속에 오르페우스라는 가수가 등장한다. 아폴론의 아들로 알려진 그는 리라는 현노래의 시대이다. 요즘 트로트 열풍이 넘쳐나고 K-팝 열풍이 대한민국 이름을 드높이고 있다. 일찍이 중국 역사서는 저 멀리 있는 동이(東夷)족의 노래와 춤의 '흥'을 유별나게 보았다. 진화생물학자 도킨스 말처럼 이기적 유전자가 한민족에게 초시간적· 선택적으로 이어져 온 것일지도 모른다.

왜 그럴까? 음악의 힘은 원초적이다.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는 노래로 사람들의 혼을 빼앗았을 뿐 아니라, 사나운 맹수들을 온순케하고, 우거진 나무숲이 노래를 듣기 위해 한쪽으로 쏠리게 하였으며, 바위들이 눈물을 흘리게 하였다. 그는 뱀에 물려 죽은 애인 에우리디케를 살리려 죽음의 스틱스강을 지키는 뱃사공 카론을 리라 연주로 잠재우고 도강(渡江)하여 죽음의 신 하데스를 만나 설득한다. 설득 논리는 애인이 없으면 자신이 노래를 부를 수 없고 그러면 온 세상이 즐거움을 잃고 말 것이기 때문에 애인의 환생이 절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설득에 성공하여 애인을 데리고 삶의 세계로 앞서 거의 왔지만 되돌아보지 말라는 지침 위반으로 애인의 환생은 무위가 되고 만다. 그 후 그는 늘 슬픔을 노래하는 바람에 행복과 흥, 위안의 노래를 들으려 그를 쫓는 여성 광팬 무리인 메나드 무리들의 분노에 온몸이 찢겨 죽고 만다.



이 신화는 죽음을 넘어설 수 있는 노래의 막강한 힘에 대한 고대인들의 믿음을 보여준다. 음악은 어둠과 고통의 시대를 치유하기도 한다. 슈베르트의 「음악에 부쳐」(1817)라는 가곡이 있다. 프랑스 대혁명 시대에 예술인들이 느끼는 시대고(時代苦)는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봉건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살벌한 시장에 내팽개쳐진 예술인들 삶도 막막했을 것이다. 시대의 혼란 중에 태어난 슈베르트는 척박한 시대에 가난한 삶을 살다 31살의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다. 당시 비엔나에서 함께 활동하던 프란츠 쇼버라는 시인이 쓴 가사를 음악에 담았다. "오, 너 고귀한 예술이여, / 험한 삶의 위험들이 나를 옭매던 때 / 오래 동안 사랑의 온기를 내게 불어 넣었고/ 더 좋은 세상으로 날 이끌어주었지 / 너의 하프에서는 자주 성스러운 화음이 숨결로 흘러나왔고/ 내게 더 좋은 시절을 열어 보였지 / 고귀한 예술이여, 고맙고 고맙구나!"

벨기에 영화 감독 꼬르비오는 그의 음악영화 「성악의 대가」에서 요하임이라는 바리톤 가수를 등장시킨다. 그는 어느 날 콘서트가 끝나자 느닷없는 은퇴 선언을 한다. 자신 생명이 곧 끝날 것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여론이 들끓은 것은 물론이다. 그 후 그는 친구 조카딸과 대성 기미가 느껴진 시장 좀도둑을 제자로 삼아 강한 훈련 시켜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한다. 그즈음 젊은 시절 요아힘과 노래 경연을 벌이다 성대 손상을 입어 더 이상 노래를 못 부르게 되었던 재력가 라이벌이 그를 제자와 함께 경연에 초청한다. 요하임은 그 경연이 라이벌이 파놓은 복수의 함정이라는 것을 짐작하면서도 제자들의 앞날을 위해 위험을 감수한다. 제자들에 대한 믿음과 함께. 스승은 경연의 결과를 이미 확신 채 이 집에 돌아와 피아노로 「음악에 부쳐」를 부르며 덮쳐오는 죽음을 맞이한다. 음악이 인간에게 주는 의미가 노래 속에 잔잔히 스며든다.



특정한 시대에 힘을 발휘하는 노래들이 있어왔다. 1980년대 반(反)전두환 군사독재 저항가 「임을 위한 행진곡」, 1970년대 박정희 유신체제의 금지곡 「아침이슬」이 그런 노래일 것이다. 이 노래와 서민의 애환을 담은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선물해주었던 노래 고수 김민기 선생이 병고를 겪고 있다는 소식에 마음이 아린다. / 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연출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2.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3.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1.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2.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3.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헤드라인 뉴스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새 정부 '5극 3특' 국가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 초광역화 개편 가능성에 지역사회에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업 수행지역이 시도 단위에서 권역으로 확장되면 지역대학들의 시도 간 협업이 가능해지지만, 공동과제 부담이나 경쟁이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초 광역화 개편 시점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기존에 각 시도가 사업 수행 과제를 정하고 대학들이 이에 맞추는 경직된 구조가 이어진다면 권역 단위에서도 공동과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