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음악에 부쳐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음악에 부쳐

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연출가

  • 승인 2024-03-13 17:21
  • 신문게재 2024-03-14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송전
송전 한남대 명예교수.연출가
음악의 힘은 원초적이랄 수 있다. 그리스 신화 속에 오르페우스라는 가수가 등장한다. 아폴론의 아들로 알려진 그는 리라는 현노래의 시대이다. 요즘 트로트 열풍이 넘쳐나고 K-팝 열풍이 대한민국 이름을 드높이고 있다. 일찍이 중국 역사서는 저 멀리 있는 동이(東夷)족의 노래와 춤의 '흥'을 유별나게 보았다. 진화생물학자 도킨스 말처럼 이기적 유전자가 한민족에게 초시간적· 선택적으로 이어져 온 것일지도 모른다.

왜 그럴까? 음악의 힘은 원초적이다.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는 노래로 사람들의 혼을 빼앗았을 뿐 아니라, 사나운 맹수들을 온순케하고, 우거진 나무숲이 노래를 듣기 위해 한쪽으로 쏠리게 하였으며, 바위들이 눈물을 흘리게 하였다. 그는 뱀에 물려 죽은 애인 에우리디케를 살리려 죽음의 스틱스강을 지키는 뱃사공 카론을 리라 연주로 잠재우고 도강(渡江)하여 죽음의 신 하데스를 만나 설득한다. 설득 논리는 애인이 없으면 자신이 노래를 부를 수 없고 그러면 온 세상이 즐거움을 잃고 말 것이기 때문에 애인의 환생이 절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설득에 성공하여 애인을 데리고 삶의 세계로 앞서 거의 왔지만 되돌아보지 말라는 지침 위반으로 애인의 환생은 무위가 되고 만다. 그 후 그는 늘 슬픔을 노래하는 바람에 행복과 흥, 위안의 노래를 들으려 그를 쫓는 여성 광팬 무리인 메나드 무리들의 분노에 온몸이 찢겨 죽고 만다.

이 신화는 죽음을 넘어설 수 있는 노래의 막강한 힘에 대한 고대인들의 믿음을 보여준다. 음악은 어둠과 고통의 시대를 치유하기도 한다. 슈베르트의 「음악에 부쳐」(1817)라는 가곡이 있다. 프랑스 대혁명 시대에 예술인들이 느끼는 시대고(時代苦)는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봉건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살벌한 시장에 내팽개쳐진 예술인들 삶도 막막했을 것이다. 시대의 혼란 중에 태어난 슈베르트는 척박한 시대에 가난한 삶을 살다 31살의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다. 당시 비엔나에서 함께 활동하던 프란츠 쇼버라는 시인이 쓴 가사를 음악에 담았다. "오, 너 고귀한 예술이여, / 험한 삶의 위험들이 나를 옭매던 때 / 오래 동안 사랑의 온기를 내게 불어 넣었고/ 더 좋은 세상으로 날 이끌어주었지 / 너의 하프에서는 자주 성스러운 화음이 숨결로 흘러나왔고/ 내게 더 좋은 시절을 열어 보였지 / 고귀한 예술이여, 고맙고 고맙구나!"

벨기에 영화 감독 꼬르비오는 그의 음악영화 「성악의 대가」에서 요하임이라는 바리톤 가수를 등장시킨다. 그는 어느 날 콘서트가 끝나자 느닷없는 은퇴 선언을 한다. 자신 생명이 곧 끝날 것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여론이 들끓은 것은 물론이다. 그 후 그는 친구 조카딸과 대성 기미가 느껴진 시장 좀도둑을 제자로 삼아 강한 훈련 시켜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한다. 그즈음 젊은 시절 요아힘과 노래 경연을 벌이다 성대 손상을 입어 더 이상 노래를 못 부르게 되었던 재력가 라이벌이 그를 제자와 함께 경연에 초청한다. 요하임은 그 경연이 라이벌이 파놓은 복수의 함정이라는 것을 짐작하면서도 제자들의 앞날을 위해 위험을 감수한다. 제자들에 대한 믿음과 함께. 스승은 경연의 결과를 이미 확신 채 이 집에 돌아와 피아노로 「음악에 부쳐」를 부르며 덮쳐오는 죽음을 맞이한다. 음악이 인간에게 주는 의미가 노래 속에 잔잔히 스며든다.



특정한 시대에 힘을 발휘하는 노래들이 있어왔다. 1980년대 반(反)전두환 군사독재 저항가 「임을 위한 행진곡」, 1970년대 박정희 유신체제의 금지곡 「아침이슬」이 그런 노래일 것이다. 이 노래와 서민의 애환을 담은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선물해주었던 노래 고수 김민기 선생이 병고를 겪고 있다는 소식에 마음이 아린다. / 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연출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하나은행, 대전 지역 소상공인에 총 450억 원 지원
  3. 민주당 '세종시의원' 연이은 징계 수순...요동치는 정가
  4.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5.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1.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2. 대전시의회 조원휘 "일류 경제도시 대전, 더 높이 도약할 것"
  3. 대전대 RISE사업단, 출연연 연계 산·학·연 협력 공동팀 선정
  4.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5.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