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변수'...세종시 총선 '여성정책 토론회' 축소되나

  • 정치/행정
  • 2024 충청 총선

'한동훈 변수'...세종시 총선 '여성정책 토론회' 축소되나

2024총선여성연대, 3월 28일 오후 2시 세종시 출범 첫 토론회 개최
한동훈 위원장, 27일 '국회의 완전한 이전' 공언 이후 28일 같은 시간대 세종 방문 예고
국힘 류제화(갑) 후보 불참 통보...여성단체, 정상 참여 촉구

  • 승인 2024-03-27 15:44
  • 수정 2024-03-27 19:45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326_150047578
세종시 15만 여성 유권자들의 선택을 도울 '국회의원 후보 초청 토론회'가 3월 28일 일부 축소될 진행될 전망이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방문 변수가 갑자기 등장하면서다.

세종시 2024총선여성연대는 이날 오후 2시 보람동 시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이번 토론회를 진행할 예정인데, 공교롭게도 한 위원장의 첫 방문 일정과 겹쳤다.



한 위원장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을 공언한 데 이어, 28일 세종동(S-1생활권) 세종의사당 예정지를 찾아 충청권 필승 결의 대회를 가지기로 했다.

갑작스레 공개된 일정인 만큼, 지역 총선 토론회와 겹쳐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 국힘의 류제화 갑구 후보와 이준배 을구 후보의 불참이 예상되면서다. 후보들은 현실 정치 여건상 참석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였다. 여성단체의 최종 확인 결과 류제화 후보만 불참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준배 후보 캠프는 이날 오후 5시 30분경 "토론회 불참을 통보한 사실이 없다. 오후 2시 정확한 시간에 맞춰 참석할 것"이라고 알려왔다.

결국 토론자는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국민의힘 이준배, 새로운 미래 김종민, 개혁신당 이태환 4인 후보로 압축됐다. 여성계는 막판까지 류제화 후보 참석을 독려할 계획이다.

토론회 의제 초점은 후보의 성인지 관점과 여성 정책 공약 검증에 맞췄고, 시 출범 이후 지역 여성단체·기관이 처음 주최한 자리란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토론회가 끝난 후 젠더 정책 협약식도 준비됐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는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문의는 2024총선여성연대 사무국(세종YWCA, ☎010-4817-6866)으로 하면 된다.3월 23일 기준 세종시 여성 유권자 수는 15만 2003명으로 집계됐다.

2024총선여성연대는 범여성계 결집으로 조직한 한시적 연대기구로, (사)세종YWCA, (사)세종여성, 세종여성기업인협의회, 세종여성살림터 복숭아공동체, 세종여성회, 든든성문화인권센터, 세종YWCA성인권상담센터, 세종시가족센터, 세종여성새로일하기센터, 종촌종합복지센터 가정·성폭력통합상담소 등 모두 10개 단체·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