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총선 표심 키워드는? '정권 심판론·기성 정당 분발론'

  • 정치/행정
  • 2024 충청 총선

세종시 총선 표심 키워드는? '정권 심판론·기성 정당 분발론'

조국혁신당, 국민의미래와 더불어민주연합 제치고 지지율 1위 기염
정부부처(공무원)·국책연구단지(연구원) 표심, 정권 심판론으로 강하게 전이
민주당 텃밭 공식 다시 깨져...국힘의 '국회 이전' 승부수 영향도 미미

  • 승인 2024-04-12 15:19
  • 수정 2024-04-12 15:21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세종시 지역별 정당 지지율
세종시 읍면동별 정당 지지율 현황. 제공=선관위.
세종시민들의 표심은 더불어민주당도, 국민의힘도 아니었다. 조국혁신당에 기댄 민심은 '정권 심판론'과 '더불어민주당·국힘 분발론'으로 향했다. 국힘이 3월 27일 승부수로 던진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카드도 판세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2024 총선 '정당 지지율' 자료를 보면, 조국혁신당은 전국 평균 24.25%를 기록하며 국민의미래(36.67%)와 더불어민주연합(26.69%)에 이은 3위 정당에 이름을 올렸다. 광주(47.7%)와 전북(45.5%), 전남(43.9%)에선 과반수에 가까운 표심을 얻으며 더불어민주연합마저 압도했다.



평균 연령 30대 중반인 젊은 도시 세종시 민심도 조국혁신당(30.94%)에 1위 지위를 줬다. 다음으로 국민의미래(29.88%), 민주연합(25.08%), 개혁신당(4.72%), 새로운미래(3.36%), 녹색정의당(2.12%)이 자리했다.

이는 21대 국회에서 180석에 가까운 압도적 의석을 점유하고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민주당에 대한 경고음과 '정권 심판'이란 선명한 메시지를 듣게 했다.



읍면동별 세부 지지율로 보면, 조국혁신당은 아름동(37.92%)과 한솔동(35.81%), 해밀동(34.93%), 나성동(34.77%), 새롬동(34.32%)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세를 이끌어냈다. 읍면에선 14%(전동면)~23.35%(연기면) 사이에 놓였다.

이에 반해 민주연합은 연서면(28.47%)과 조치원읍(28.22%), 해밀동(28.03%)에서만 전국 평균 지지율 이상을 받았고, 중도 낙마한 이영선 후보의 고향인 금남면(17.83%)에서 최대 이탈 현상을 맞이했다.

국민의힘은 금남면에서 50.52%로 피치를 올렸고, 연동면(50.43%)과 소정면(50.26%)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나타냈다. 신도시에선 대평동(29.72%)과 도담동(29.48%), 새롬동(28.51%), 한솔동(28.24%)이 지역 평균치에 근접한 지지율로 선전했다.

개혁신당은 어진동(7.24%)과 해밀동(5.99%), 종촌동(5.27%), 고운동(5.25%), 새로운미래는 반곡동(5.53%)과 나성동(5%), 어진동(4.71%), 녹색정의당은 어진동(3.15%)과 나성동(2.83%)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가 12년 만에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투표율(70.2%)을 기록한 이유는 젊은층이란 특성 외에 정권 심판론이 어느 지역보다 크게 작용한 것"이라며 "정부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세종청사와 국책연구단지 종사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해석도 있다. 보수층도 일부 결집의 모습을 보여줬다. 갑 지역을 새미래, 정당 지지율 순위를 조국혁신당에게 내준 민주당에게도 뼈아픈 선거"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결과
세종시 투표율과 갑구와 을구 지역구 국회의원 선출 결과. 네이버 갈무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