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비 가공식품 34중 20개 품목 가격 인상… 고물가 시대 주부들 부담 가중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다소비 가공식품 34중 20개 품목 가격 인상… 고물가 시대 주부들 부담 가중

컵밥, 간장, 참치캔 등 품목 두 자릿수 인상
우유, 밀가루 등도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

  • 승인 2024-05-15 12:02
  • 수정 2024-05-15 13:45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장바구니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다소비 가공식품 34개 품목 중 20개 품목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품목은 한 달 만에 두 자릿수 이상 상승하며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고물가 시대에 품목을 가리지 않고 물가가 전방위로 뛰는 모양새다.

15일 한국소비자원의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 동향에 따르면 4월 기준 34개 품목 중 컵밥과 간장, 참치캔, 어묵 등 20개의 판매가격이 3월보다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하는 다소비 가공식품의 가격이다. 인상된 품목 중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건 컵밥(100g)이다. 컵밥은 3월 1250원에서 4월 1579원으로 무려 26.3%나 올라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간장(100ml)은 761원에서 862원으로 13.2% 비싸졌으며, 참치캔(10g)도 208원에서 230원으로 10.5% 올랐다. 밥상에 자주 올라가는 어묵(100g)은 4월 1074원으로, 3월(983원)보다 9.3% 인상됐다. 치즈(10g)도 이 기간 273원에서 288원으로 5.5%, 즉석밥(100g)은 757원에서 790원으로 4.4% 각각 상승했다. 탕(100g)도 3월 611원에서 634원으로 3.8%, 맥주(100ml)는 475원에서 485원으로 2.2% 각각 올랐다.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우유도 가격이 크게 올랐다. 우유(100ml)는 4월 420원으로, 3월(379원)보다 10.9% 인상됐으며, 밀가루도 226원에서 234원으로 3.5% 상승했다.

반면, 콜라(100ml)는 4월 155원으로, 3월(187원)보다 17.4% 하락했으며, 고추장도 1787원에서 1567원으로 12.3% 인하했다. 즉석죽(100g)은 3월 1340원에서 4월 1237원으로, 시리얼(100g)은 1190원에서 1098원으로 각각 7.7% 인하했다.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가공식품의 가격이 한 달 만에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탄식이 흘러나온다. 가뜩이나 오른 물가에 생필품 가격까지 더해져 살림살이가 팍팍해진다고 하소연한다. 주부 구 모(48) 씨는 "마트에 갈 때마다 최대한 할인된 상품으로 구매하려고 하지만 영수증을 보면 전보다 오른 가격이 한숨이 절로 나온다"며 "최대한 아끼는 방법밖엔 없겠지만 먹는 걸 줄일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