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환경과 보건, 등 국민생활 분야 협력방안 마련 의미

  • 정치/행정
  • 국정/외교

한·일·중, 환경과 보건, 등 국민생활 분야 협력방안 마련 의미

의장국인 한국 주도로 3국 협력 정상화 계기 마련도 의의
인적 교류와 기후변화 대응, 경제통상, 보건·고령화, 과학기술, 재난·안전 등 6대 분야 협력
3국 협의체 정례화와 한반도 비핵화…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 채택

  • 승인 2024-05-27 15:05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20240527024228_PYH2024052708730001300_P2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에서 4년 5개월 만에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는 의장국인 한국 주도로 3국 협력의 복원과 정상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환경과 보건, 재난, 과학기술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마련한 것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는 27일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제8차(중국 청두 개최) 회의 이후 약 4년 5개월 만의 3국 정상회의로, 3국 협력의 복원과 정상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2023년 9월 아세안+3 정상회의와 당시 양자회담 시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하고 이후 정상회의 개최 여건 조성을 주도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3국 외교장관회의와 3국 고위급회의 등 외교적 노력을 지속해 코로나19 이후 첫 3국 정상회의 개최했다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인적 교류와 기후변화 대응, 경제통상, 보건·고령화, 과학기술·디지털전환, 재난·안전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6대 분야의 실질 협력 방안을 모두 공동선언문에 담았다.

우선 인적 교류를 위해 대표적 인적교류 프로그램인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 사업을 적극 지원해 2030년까지 누적 참여 학생을 3만 명까지 확대한다. 어린이동화교류대회(3국 초등학생)와 주니어종합경기대회(3국 고등학생), 대학생 외교캠프(국내 체류 3국 대학생), 청년 공무원 교류 프로그램 등도 지속한다.

20240527024228_PYH2024052711310001300_P2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연합뉴스
또 동아시아 황사 저감을 위해 몽골과 협력하는 등 환경문제 해결에 협력하고, 신종 감염병 대응과 노년을 위한 기술개발, 의료·소득 보장 등 고령화 대응 정책을 공유하며, 과학기술·디지털전환을 위해 학계 교류와 공동 연구도 한다. 재난·안전 분야에선 재난관리 담당 3국 기관장 협의 등 재개 논의와 여성, 평화, 안보 분야 협력을 추진하고 경범죄 예방·단속 위해 3국 경찰협력회의 통한 협력도 강화한다.

경제통상 분야의 경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아시아 채권시장 발전방안(ABMI) 등을 통한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 3국 FTA 협상 가속화, 공급망 협력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한다.

3국은 이번 정상회의 정례화에도 공감했다.

외교와 교육, 문화, 스포츠, 관광, 환경, 농업, 금융, 특허, 관세, 물류 등 21개 장관급 협의체를 비롯해 70여 개의 정부 간 협의체가 운용될 수 있도록 최정점에 있는 3국 정상회의를 정례화해 3국 협력의 모멘텀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번영이 공동이익이자 공동책임이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한반도 비핵화 등 3국이 각각 중요시하는 입장도 재차 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2025년과 2026년을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해 인적, 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투명하고 예측가능한 무역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안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 공중보건 위기, 초국경범죄에도 협력하고 함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공 습관' 일상화 마법...자기계발 명상 캠프 눈길
  2. 천안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랑의 교실' 운영
  3. 박철웅 최소침습척추학회장, 홍콩 척추수술 세미나 초청
  4. 대전지방보훈청, 고령 보훈가족 60가구에 밑반찬 나눔 봉사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기획 특집]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가톨릭성지순례단 동행취재기(2)
  1. 영업자료 갖고 동반퇴사 후 동종업체 신설 60대 3명 징역의 집유
  2. 보건소·의료원 진료시간 연장… 지자체 18일 휴진 현장채증도
  3. '265㎞ 함께 걷고 방황도 함께 극복' 대전가정법원 보호소년들 수행
  4. 대전 촉법소년 매년 700명 검거… 중구서 촉법소년 포함 여중생 3명 차 절도 시도
  5.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24 청소년과학페어' 대전 대표로 나설 6팀 선정

헤드라인 뉴스


기업투자 20조 목전 충남… 네덜란드서 연이은 3천억 투자협약

기업투자 20조 목전 충남… 네덜란드서 연이은 3천억 투자협약

충남도가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20조 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김태흠 지사의 유럽 순방 일정 중 이번 달 13∼14일(한국 시각) 네덜란드 뉴콜드·SHS사와 2억 2500만 달러(3042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연이어 체결했다. 이에 따라 민선8기 출범 이후 도의 국내외 투자유치 기업 및 금액은 163개사 19조 3688억 원이다. 민선7기 유치 금액인 14조 5385억 원보다 많다. 연도별로는 민선8기 출범 첫 해인 2022년 6개월 동안 49개사 3조 1459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80개사 1..

K-국방과학도시 대전, 방위산업 미래를 열다
K-국방과학도시 대전, 방위산업 미래를 열다

대전시가 지역 방산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군 교류와 협력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시는 1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개막식을 개최했다. 19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230여 개 방산기업이 참가해 첨단무기와 신기술을 선보이고 국방 과학기술 학술행사, 레드백(수출용 보병전투장갑차) 전투장비 전시 포토존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한다. 전시행사는 첨단국방산업전, 군수산업발전대전, 부품국산화개발전시회에 참여하는 230여 개 방산기업들의 400여 개 부스가 설치될 예정이다. 군 관련 과학기..

대전 민간 아파트 3.3㎡(1평)당 평균 분양가 1870만 원대
대전 민간 아파트 3.3㎡(1평)당 평균 분양가 1870만 원대

대전 민간 아파트 3.3㎡(평)당 평균 분양가가 1870만 원대를 넘어섰다. 1년 전과 비교해 14% 가까운 상승 폭이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지난 5월 말 기준 대전 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는 568만7000원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3.3㎡당 분양가는 1876만7100원인 셈이다.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34평) 기준으론 6억3000여만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당 489만5000원이었던 분양가는 5월 현재 13.9% 올라 34평 기준 8000여만 원 뛰었다.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1년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휴진 안내문 붙은 의원 휴진 안내문 붙은 의원

  • ‘여긴 주차장이 아닙니다’ ‘여긴 주차장이 아닙니다’

  •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 ‘동구민과 함께 르네상스 시대 견인’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 ‘동구민과 함께 르네상스 시대 견인’

  • 여름밤의 특별한 추억…‘2024 꿀잼대전 힐링캠프’ 성료 여름밤의 특별한 추억…‘2024 꿀잼대전 힐링캠프’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