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韓 바이오산업 10년 안에 대전이 석권할 것"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이장우 "韓 바이오산업 10년 안에 대전이 석권할 것"

본보 세미나서 강조 "바이오 기업 25개社 상장…전폭지원"
정부 바이오특화단지 발표 앞 대전유치 당위성 피력한 듯
"0시축제 200만명 넘어 폭발적…성심당 세계적 빵집으로"

  • 승인 2024-06-16 10:37
  • 수정 2024-06-16 11:23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KakaoTalk_20240616_103123119
사진출처 이장우 대전시장 페이스북
이장우 대전시장은 "10년 안에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은 대전이 석권할 것으로 예견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지난 14일 계룡스파텔에서 열린 중도일보·대전상공회의소 공동주최 경제세미나에서 "대전에 57개 상장기업이 있고 이 가운데 바이오 기업들은 25개가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시장은 "상장기업 중 알테오젠은 시가총액이 14조 원이 됐고 바이오니아 등 대전의 바이오 기업들이 쑥쑥 성장하고 있다"며 "조금만 더 투자하고 지원하면 (대전이 한국 바이오 산업 석권하는 것) 가능하리라 본다"고 부연했다.

그의 이같은 발언은 대전의 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부각하면서 이달 말 정부의 바이오특화단지 지정을 앞두고 대전 유치의 당위성을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분야 산업 경쟁력도 부각했다.

이 시장은 "우주항공 분야는 대전이 정부의 우주산업 클러스터 3축에 포함돼 인재 육성 개발 부문에 1000억 원 정도 확보했다"며 "양자 산업은 대전이 이미 인력을 싹쓸이 했으며 대전시와 카이스트가 200억 원을 투입해 양자팹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방은 방위사업청 이전이 2027년 말께 완료되는 데 이 분야 대대적인 투자와 방산기업을 육성하기로 했고 나노 반도체의 경우 160만 평 산단 포함 국방 및 전력반도체 분야에 집중투자하기로 했다"고 보탰다.

이 시장은 그러면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형성 되다보니) 머크, LIG 넥스원, SK온 등 좋은 기업들이 끊임없이 대전행을 타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대전의 비전도 설명했다.

특히 0시 축제에 대해선 "올해는 0시 축제에 찾아오는 관광객이 200만 명을 넘어 폭발적인 상황으로 갈 것으로 보고 안전관리를 잘 하겠다"며 "0시 축제는 경제활성화용 축제로 기획이 됐다.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빵집은 성심당은 0시 축제를 통해 세계적인 빵집으로 대전의 조그만 맛집들은 우리나라 최고의 맛집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대전의 대표 축제 0시 축제가 국내외 유명세를 타고 관광객들이 몰리면 소비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또 0시 축제가 원도심을 넘어 대전시 전역으로의 확산을 고민하겠다면서 하나금융그룹, 전문건설협회, 대전보건대, CNCT 등을 거론, 지역 경제계와 대학 등의 참여를 예고했다.

이 시장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전이 오시기로 했다"며 "옛 충남도청사, 관사촌 등을 경쟁력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3.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4.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5. [월요논단] 대전 야구.축구, 흥행은 성공, 결과는 불만
  1.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관련 단체 민간자격증 소지자 16명 확인
  2. [홍석환의 3분 경영] 잘할 수 있다는 믿음
  3. [편집국에서] 안전 이별 했어?
  4. [오늘과내일] 대전 칼국수와 나가사키 짬뽕의 인문학적 교류 가능성
  5.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6월16일 월요일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이재명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제9회 지방선거를 흔드는 메가톤급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탈(脫) 세종이 현실화되면 직접적 타격을 입는 충청권을 넘어 인천, 호남까지 연쇄 충격파가 우려되면서 전선확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앞으로 5년간 국정 청사진을 제시할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를 갖고 본격 가동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의 PK 대표 공약이었던 해수부 부산 이전도 조만간 구체화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에선 경제성장수석 산하에 신설되는 해양수산..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를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에선 올해 입주한 서구 용문1·2·3구역 '둔산더샵엘리프' 재건축 사업이 적용대상으로 꼽히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재건축 부담금 부과 예상 단지는 전국 58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대전에선 용문1·2·3구역이 유일하다. 재초환은 재건축으로 얻은 초과 이익이 조합원 1인당 8000만 원이 넘으면 초과 이익의 최대 절반을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이를 두고 용문1·2·3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재초환 제도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202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에서 인문계 학과와 교대 정시 합격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수학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로 인해,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인문계 학과에 대거 교차 지원하면서 발생한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종로학원 분석결과 수도권 주요 17개 대학(서울대·고려대 등 비공개)의 인문계 학과 340곳 중 정시 합격생 가운데 55.6%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나타났다. 수학..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