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묘령(妙齡)의 여인이 펼치는 아름다운 묘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묘령(妙齡)의 여인이 펼치는 아름다운 묘기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4-05-29 13:4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묘령(妙齡)의 여인'이라는 표현이 제격일 것 같았다. '수수께끼 같은 여인'이나 '묘한 여인'이라는 말도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그 어떤 말도 이 아리따운 지적인 여인에게는 어울리지 않았다. 운동하는 뒷모습을 보면 18세 남짓의 청소년 같았다. 그런데 말소리는 소녀였다. 마스크를 벗은 모습에서는 여고생의 청순한 모습을 드러내었다.

'묘령'이라는 단어는 스무 살 안팎의 여자 나이를 일컫는다. 나이를 알 수 없는 청순한 이 여인에게 잘 어울리는 단어가 '묘령'이었던 것이다.



만약 총각네들이 이 여인의 지고지순한 모습을 보았더라면 사랑을 고백하게 되었을 것이고, 이 여인은 말없이 웃는 모습으로 그 고백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그는 그렇게 조용했고 말 대신 웃음으로 대해 주었다.

잔소리가 길면 글을 읽지 않는 법. 잔소리 때려치우고 본론으로 돌아가자.



필자가 사는 갈마아파트는 1단지, 2단지, 3단지로 나뉘어 있는데 단지마다 어린이 놀이터가 있고, 깨끗한 화장실이 있으며, 주민들의 운동기구가 갖춰져 있다.

필자는 새벽 5시30분에 일어나 3단지에 갖춰진 '우마장 어린이 놀이터'를 경유해 갈마도서관엘 간다. 이곳에서 만나는 친구들이 있기 때문이다. 만나서 모닝커피를 나누며 어제 있었던 일이나, 정국 돌아가는 걱정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그런데 말이다.

우마장 놀이터에 새벽 일찍 와서 운동을 하는 여인이 있는데 바로 이 여인이 오늘 관심의 주인공인 것이다. 추운 겨울에는 모자 달린 점퍼를 입고, 마스크를 했기에 性구별을 할 수가 없었다. 그저 빠른 몸동작으로 볼 때 소년인지 싶었다. 손잡이를 잡고 발을 놀리기도 하고 때론 손잡이를 놓고 발만으로 빠른 걷기 동작을 하기도 하였다. 마치 기능 경진 대회나 묘기 대행진에 나온 선수들처럼.

불안했다. 저러다 넘어지면 상처를 크게 입을 것만 같았다.

다가가 말을 건네였다. 그런데 아랑곳하지 않고 운동만 했다. 말없는 여인.

대부분의 총각들은 이런 여인을 좋아한다. 그리고 지고지순한 사랑을 하려고 하며 이런 여인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바치려 드는 것이다.

보자, 청마 유치환의 생명을 잃은 뒤에 사랑하는 여인의 마음을 얻게 된 것을.

청마 유치환은 그가 사랑하는 이영도 시인을 얻기 위해 '행복'이라는 시를 써서 고백했다.

행복-청마 유치환-

'사랑하는 것은/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오늘도 나는/에메랄드빛 하늘이 환히 내다뵈는/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행길을 향한 문으로 숱한 사람들이/제각기 한 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보지를 받고/먼 고향으로 또는 그리운 사람께로/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더욱더 의지 삼고 피어 헝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한 망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꽃인지도 모른다//-사랑하는 것은/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나니라/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이렇게 간절히 고백을 했는데도 정운 이영도 여사는 유교적 관습을 탈피할 수 없어 받아들이지 않다가 3년이 넘어서 1967년 청마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뒤 그가 보냈던 연서 중 200여통을 추려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라는 시집을 내며 청마의 사랑을 받아들였다 한다. 그리고 청마의 사망에 대한 추모의 정을 '탑3'이라는 짧은 시로 마음을 전했던 것이다.

탑 3-정운 이영도-

'너는 저만치 가고/나는 여기 섰는데…/손 한 번 흔들지 못한 채/돌아선 하늘과 땅/애모는 사리에 맺혀/푸른 돌로 굳어라'

갈마아파트 주민들이여!

매일 새벽마다 307동 옆에 있는 이곳 갈마어린이 공원인 우마장에 와 보시라.

묘령의 여인이 모자달린 점퍼를 입고 말없이 재능을 펼치고 있을 것이다. 운동이기에 앞서 묘기인 것이다. 아름다운 묘기.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