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농지연금·농지이양은퇴직불, 농업인의 안정적 노후생활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

  • 전국
  • 광주/호남

[특별기고]농지연금·농지이양은퇴직불, 농업인의 안정적 노후생활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

  • 승인 2024-06-26 10:51
  • 수정 2024-06-26 15:46
  • 양선우 기자양선우 기자
황명순 한국농어촌공사 진도지사장
황명순(한국농어촌공사 진도지사장)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경영주 연령은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의 47.8%로 가장 많다. 전년 대비 70세 이상 경영주는 증가했으나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감소해 농촌의 고령화는 심각한 상태다.

고령 농업인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농어촌공사는 고령 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농지연금사업과 더불어 농지이양은퇴직불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먼저 농지연금사업은 만 60세 이상의 고령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하는 사업으로 연금 수령액은 농지의 면적과 가격, 가입자의 연령 등에 따라 결정된다. 가입자는 연금을 수령하면서 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임대를 줌으로써 추가 소득이 발생한다.

농지이양은퇴직불 사업은 만 65세 이상 84세 이하의 고령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청년농 등에게 이양하고, 매월 직불금을 지급받는 사업이다. 농지이양은퇴직불의 지원금액은 농지를 매도하는 경우는 ha 당 월 50만원, 매도 조건부 임대로 농지를 이양하는 경우 ha 당 월 40만원으로 지원받는다.



두 사업은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 농업인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농지연금사업은 농지를 담보로 제공하기 때문에 농지를 처분하지 않고도 연금을 받을 수 있어, 농업인들의 노후생활에 큰 도움으로 자리잡았다. 농지이양은퇴직불사업은 기존의 경영이양직불사업을 개편하여, 농지이양에 따른 지원혜택이 대폭 확대됐다.

은퇴 후 노후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고령이면서 은퇴를 고민하는 농업인들에게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많은 매도 농지를 청년농에게 이양하기 때문에 농촌의 고령화는 물론 농업 구조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이에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고령 농업인들이 안심하고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하려고 한다. 평생을 바쳐 가꾼 농지가 이제는 안정된 노후 생활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수 있다. 노후가 더 밝고 풍요롭기 위해서 적극 참여하여 행복하고 안정적인 은퇴생활을 시작하길 바란다.

농지은행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농지은행 대표전화, 농지은행포털, 또는 한국농어촌공사 진도지사를 방문해 상담받을 수 있다.

/황명순(한국농어촌공사 진도지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4.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