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20. 대전 유성구 노은2동 피자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20. 대전 유성구 노은2동 피자

유성구 노은2동 피자집 9월 현재 8곳으로 늘어나는 추세
월 평균 매출 1616만원으로 1년 전 1038만원서 상승 곡선
30, 40대 고객 층 수요 많아... 여성보다 남성 매출이 우세

  • 승인 2024-12-11 16:15
  • 신문게재 2024-12-12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노은2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0. 대전 유성구 노은2동 피자집



얇게 핀 도우에 고소한 치즈를 얹는다. 새우와 스테이크, 햄 등 여러 토핑에 따라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피자가 탄생한다. 한입 가득 입에 넣고 베어 물면 치즈가 쭉 늘어난다. 느끼해진 입안을 탄산음료로 개운하게 한다. 직장인 김 모(42) 씨가 피자 하면 떠오르는 순간이다. 그는 피자 마니아로 불린다. 어릴 적부터 피자를 좋아했던 그는 이탈리아 정통 피자부터 한국인에 입맛에 맞게 만들어진 피자까지 두루두루 가리지 않는다. 지금도 개인 피자 가게나, 신제품이 나오면 꼭 맛을 볼 정도다. 그는 화덕 속에서 갓 구운 피자를 자연산 치즈에 손님 입맛에 맞는 토핑을 추가해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피자집을 운영하고 싶어 한다. 여러 피자 프랜차이즈와 달리 자신만의 특색 있는 가게를 운영하고 싶다. 주요 상권은 대전 유성구 노은동으로 삼았다. 피자를 좋아만 했지 창업은 처음인 그는 매출과 경쟁 업체, 유동인구 등이 궁금하단다. 그의 고민을 덜어보자. <편집자 주>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대전 유성구 노은2동의 피자 업소 수는 2024년 9월 현재 8곳이다. 1년 전 5곳에서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반경 1km엔 19곳이 있으며, 유성구 전체로는 150곳, 대전 전체는 574곳이다. 통상 업소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한다. 상권 인근에 아파트 단지가 몰려있는 특성상 오랫동안 가게 업력을 유지한다면 승산이 있어 보인다. 업소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만큼 창업의사결정이나 업소운영기간 결정시 참조가 된다. 피자 관련 업소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건 그만큼 피자 가게 장사가 곧잘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출은=김 씨가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는 매출은 점차 상승 중이다. 노은2동 피자 가게 월평균 매출은 2024년 9월 기준 1616만원으로, 1년 전(1038만원)보다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반경 1km 피자 업소 월평균 매출은 2059만원, 유성구 전체는 2219만원, 대전 전체는 1495만원이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의 편차가 크지 않았다. 주중엔 평균 214만원, 주말은 273만원이다. 주중 중 월요일 158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을 제외하곤 화~금요일 모두 200만원대를 유지했다. 주말엔 토요일이 299만원으로 300만원대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일요일은 246만원이다. 통상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 불린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노은2동 피자 가게의 주요 고객 층은 30·40대에 많이 포진해있다. 30대 고객이 평균 395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1위다. 이어 40대 369만원, 50대 261만원, 20대 244만원, 60대 이상 61만원, 10대 19만원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775만원의 매출을 나타내며 여성(574만원)보다 매출이 높은 모습이다. 고객 방문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밤 9시가 555만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오후 2시~5시 415만원, 오전 11시~오후 2시 297만원, 오전 6시~11시 247만원 등의 순이다. 요일·시간대별 매출 비율을 통해 평균 매출이 낮은 요일의 경우 할인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의 영업·마케팅 및 업소 운영 시간의 조정 등 업소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겟 고객층을 의미한다. 주 타겟고객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해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잠재적 고객인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4년 9월 2만 6322명으로, 1년 전(4만 2941명)보다 크게 줄어든 상태다. 연령대 별로는 40대가 6378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5771명, 60대 이상 5521명, 30대 3724명, 10대 2473명, 20대 2456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주중과 주말이 비슷했다. 주중엔 2만 5962명, 주말은 2만 7252명이다. 요일별로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 평균 2만 명대를 유지하며 고루 분포됐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부터 밤 9시가 7018명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오전 6시~11시 5360명, 오후 2시~5시 4956명, 오전 11시~오후 2시 4324명 등으로 집계됐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월 일 평균 추정데이터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김 씨의 피자집 창업에 큰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 증여세 부담 줄이는 추가 방법은?
  2. 대전·세종·충남 제조업 생산 '위축'에도 수출은 '활기'
  3. [2026 수시특집-건양대 이렇게 뽑는다] 1639명 선발… 의학·국방·신산업 인재 육성
  4. '택배 쉬는 날' 앞두고 바쁜 기사
  5. [2026 수시특집-건양대] 글로컬·RISE 지역과 함께 성장… 취업 명문 건양대의 도전
  1.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2. 소상공인 2명 중 1명 "민생회복 소비쿠폰 시행이후 매출 올라"
  3. 대전현충원 의사상자 묘역 활용 해외 독립유공자 안장 '신중론'
  4. [프리즘] 광복 80돌을 맞이한 단상과 성찰
  5. 대전신용보증재단, ‘청렴한빛네트워크’ 결의대회 진행

헤드라인 뉴스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위해 `행정수도 완성·2차 공공기관 이전`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위해 '행정수도 완성·2차 공공기관 이전'

국정기획위원회가 제안한 이재명 정부의 5대 국정 과제(안)는 국민이 하나 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등이다. 이 중 관심을 끄는 건 지역과 계층 간 불평등을 해소하고 수도권과 지역,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와 경영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목표로 제시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과제다. 구체적으로는 ‘5극 3특’ 중심의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광역 교통망 연계, 행정수도 세종 완성,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 등을 통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을 구현한..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중부권 최대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대회인 '2025 직장인 밴드 대전'이 한층 더 화려해진 무대로 찾아온다. 중도일보 주관으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 대전은 대전 대표 축제인 '0시 축제' 기간 마지막날인 16일 대전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대망의 본선이 진행된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대회는 대전을 넘어 중부권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각계각층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잠재돼 있던 끼와 열정을 발산, 미래 발전 동력으로 삼고 지역 문화 중흥을 위해 마련됐다. 특히, 첫 대회 때..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3선의 최교진(72) 세종시교육감이 13일 이진숙 후보 낙마 이후 신임 교육부장관에 지명됐다.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걸어온 이력과 일선 교육 경험,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충청권 인사 안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다른 인사 2명 외 다른 지역 교육 인사도 후보군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최 교육감으로 무게 중심을 실었다. 최 교육감은 그동안 혁신학교와 고교 상향 평준화, 공교육 강화, 초등학교 학력 시험 폐지, 캠퍼스형 고교 설립, 고교 학점제 선도적 시행 등으로 세종형 교육의 모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