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21. 대전 동구 가오동 당구장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21. 대전 동구 가오동 당구장

가오동 당구장 9월 현재 6곳으로, 1년 전과 편차 없어
월 평균 매출액 301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0만원 높아
남성 고객이 다수 차지... 50대와 40대 겨냥이 키포인트

  • 승인 2024-12-18 17:14
  • 수정 2024-12-19 15:22
  • 신문게재 2024-12-19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가오동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1. 대전 동구 가오동 당구장



직장인 조 모(46) 씨의 유일한 취미는 당구다. 4구와 포켓볼 등 가리지 않는다. 직장 동료와 지인들이 골프 등에 빠져있을 때도 조 씨는 유일하게 당구에 전념했다. 20·30대 당시 동네 크고 작은 대회에서 순위권에 들었던 그는 지금도 당구에 빠져 산다. 깔끔하게 정돈된 당구장의 모습과 출출할 때 먹는 자장면까지 당구장에 추억이 깊다. 조 씨는 그간 취미로만 생각해오던 당구장을 차리고 싶어 한다. 최근 당구 대회를 중계해주는 곳이 늘어나며 국민적 관심이 늘어나며 이런 생각은 더욱 짙어진다. 당구장에 레트로 한 예전 감성을 더해보고 싶다. 그러나 당구장을 차렸을 때 나오는 매출액과 주변 상권 분석이 큰 숙제다. 그에게서 문의가 왔다. 고민을 해결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조 씨가 원하는 대전 동구 가오동의 당구장 업소 수는 2024년 9월 기준 6곳으로, 1년 전(7곳)과 차이가 없다. 반경 1km 내에는 11곳, 동구 전체로는 64곳이 포진했다. 대전 전체로는 331곳이다. 통상 업소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하며, 다만 여러 업종에서 동 시기에 업소수의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한 변동일 가능성이 높다. 업소 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만큼 창업의사결정이나 업소운영기간 결정시 참고가 된다. 당구장 업소가 크게 줄지 않고 업력을 이어간다는 건 그만큼 상권 자체가 나쁘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다.





▲매출은=조 씨가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는 매출은 1년 만에 크게 상승했다. 가오동의 월 평균 매출액은 2024년 9월 기준 301만원으로, 1년 전(201만원)보다 100만원이나 늘었다. 반경 1km 월 평균 매출이 230만원, 동구 전체 197만원, 대전 전체 227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매출은 주말이 주중보다 높았다. 주중 평균 매출은 34만원, 주말은 66만원이다. 주말엔 토요일과 일요일이 각각 64만원, 68만원이었다. 주중엔 수요일이 5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월요일 37만원, 화요일 32만원, 금요일 25만원, 목요일 21만원 순이다. 통상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 불린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가오동 당구장 방문 시간대는 오후 5시부터 밤 9시가 19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밤 9시부터 12시가 55만원, 오후 2시부터 5시 51만원이었으며, 오전 시간대 매출은 1만원 가량으로 낮았다. 방문 시간대는 업주가 가게 오픈 시간을 책정할 수 있는 지표로 쓰인다. 당구장 특성상 주요 고객은 남성이 월 평균 288만원으로 여성 13만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 124만원, 40대 99만원, 30대 33만원, 20대 23만원, 60대 이상 15만원, 10대 7만원 순이다. 요일·시간대별 매출 비율을 통해 평균 매출이 낮은 요일의 경우 할인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의 영업·마케팅 및 업소 운영 시간의 조정 등 업소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겟 고객층을 의미한다. 주 타겟 고객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해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잠재적 고객인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4년 9월 기준 2만 5538명으로, 1년 전(3만 7896명)보다 줄었다. 2024년 5월 2만 5258명에서 6월 2만 678명으로 2만명 대가 붕괴 될 뻔했으나 이후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7685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5768명, 40대 5266명, 30대 2831명, 10대 2063명, 20대 1926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월 일 평균 추정 데이터다. 유동인구는 주중과 주말 편차가 없는 편이다. 주중엔 2만 6079명, 주말은 2만 4433명이다. 월~금요일 모두 2만명 대를 유지했으며, 토·일요일도 2만명 대로 같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부터 밤 9시가 6232명을, 오전 6시~11시 5649명, 오후 2시~5시 4879명, 오전 11시~오후 2시 4409명, 오후 9시~밤 12시 2258명 등이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조 씨의 당구장 창업 계획에 일정한 도움이 됐기를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선정 충남대-공주대 3500억 수혜…향후 통합 관건
  2. 교육부 글로컬대학 7곳 선정… 충남대-공주대·순천향대·한서대 포함
  3. [문화 톡] 국제 장애인 문화예술축제장의 그 열기
  4. 대전월드컵경기장 주차요금 대폭 완화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결핍과 상상력
  1. 유성구민 70% "기후위기가 일상생활에 영향 미친다"
  2. 서철모 서구청장, 명절 물가 점검 및 전통시장 이용 독려
  3. K-water연구원, 추석 맞아 지역 내 소외계층과 ‘사랑 나눔’
  4. 충청권투어패스, 추석맞이 9900원 한정 판매
  5. 행정통합 기원 대전·충남 파크골프대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국내·외 AI 인재 400명,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이끈다

국내·외 AI 인재 400명,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이끈다

정부가 인공지능(AI) 인재 양성을 위해 박사후연구원(포닥) 400명을 임용하고 KAIST(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등 4대 과학기술원에 배치했다. 국내 우수 인력을 포함해 해외에 있던 자국 인재를 복귀시켰으며 우수 외국인 인재도 임용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국내외 최고 수준의 박사후연구원(Postdoctoral researcher) 400명을 임용하고 4대 과학기술원 8개 이노코어 연구단에 50명씩 배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단별 주관 과기원을 두고 있으며 KAIST가 4개 연구단, UNIST가 2개, DGIST..

10월 4일은 ‘제1회 동물보호의 날’… 반려동물 산업 현장을 가다
10월 4일은 ‘제1회 동물보호의 날’… 반려동물 산업 현장을 가다

국내 반려인구 1500만 명.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3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대다. 짝이 되는 동무, 반려(伴侶)라는 사전적 의미처럼 인간과 동물은 같은 지붕 아래 함께 정을 나누며 삶을 공유한다. 이에 발맞춰 국내·외 반려동물 연관 산업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5년 10월 4일, 첫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위한 먹거리와 마지막 순간까지 존엄을 지키는 장묘문화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1. 마지막 순간까지 '웰다잉'… 천안 반려동물 장묘업체 '21그램' '사람이..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충북도는 29일 충북도청 본관 정원에서 '그림책정원 1937' 기공식을 열고, 도민 성금으로 세워진 근대문화유산을 도민 품으로 되돌려주는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이양섭 도의회 의장, 김태형 부교육감, 이범우 공무원노조위원장을 비롯해 문화예술·교육계 인사, 도민 등 100여 명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사업은 김영환 도지사가 지난해 2월 "도청 본관을 도민에게 돌려드리겠다"는 결심을 밝힌 뒤, 1년 반 동안 정책연구용역과 도민 설문조사, 기본계획 수립, 전 국민 네이밍 공모 등 차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