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정부청사 전경. [출처=중도일보 DB] |
이번 대선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모두 행정수도 완성을 약속하며, 자신들이 이를 실현할 적임자임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단순히 세종시를 행정수도 역할뿐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의 대표 성공사례이자 중부권 핵심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실천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국회 세종의사당과 세종집무실 임기 내 건립을 공약했다.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대통령실의 완전 이전도 약속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국회 완전 이전과 대통령 제2집무실 조기 건립을 내걸었다. 여기에 김 후보는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등 수도권에 남아 있는 국가기관 이전도 제시했다.
일부 추진 과정에선 차이가 보인다. 이 후보의 경우 행정수도 완성 특별법을 추진해 개헌과 유사한 효력을 노린다는 입장인 반면 김 후보는 위헌 논란 조기 종식을 위해 조속히 개헌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교통공약에선 충청권 광역철도(CTX) 건설이 눈에 띈다. 이 후보는 세종시 CTX 정차역 신설과 2032년 조기 개통을 목표로 제시했다. BRT와 광역버스 연계를 통한 세종시와 인접 도시, 신도시와 원도심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체계 혁신도 덧붙였다.
김 후보는 CTX 건설 신속 추진을 앞세웠다. 이와 함께 충청권 광역철도와 수도권 내륙선 광역철도를 연결하고, 서울과 세종을 1시간 내 연결하는 광역철도망 확충도 강조했다. 조치원읍 도심구간 철도 지하화와 역사 재개발 추진도 공약에 포함했다.
경제·산업과 관련해선 이 후보는 세종 스마트국가산단 중심의 AI 디지털 클러스터 조성과 세종 기업혁신 허브 조성을 통한 첨단기업 유치 확대, 산업-주거-문화 융합 복합단지 개발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북부권 산업단지를 AI 기반 첨단산업 특화단지 재편, 국가 양자컴퓨터 알고리즘 연구센터 설립, 디지털 바이오 허브 조성과 규제자유특구 추진 등을 약속했다.
이밖에도 이 후보는 세종 공공의료 서비스 강화와 세종지방법원 조기 착공 등을, 김 후보는 생태 기반 MICE 산업 육성과 친수 공간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