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비전 출범식 참가 인사들이 퍼포먼스에 동참하고 있는 모습.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
이날 몽골 다르항에서 'KOPIA 몽골 축산 선진화 비전 출범식' 개최를 통해서다. 이 자리에는 임기순 국립축산과학원장과 최진원 주몽골 대사, 잠발체렝 몽골 농업부 사무차관 등이 참석했다.
KOPIA 몽골센터는 2022년부터 추진해 온 가축 생산성 향상 시범 사업 성과와 올해 추진사업 내용을 공유했으며, 'KOPIA-몽골 10개 지방정부-한국발명진흥회' 간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또 몽골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소형 농기계 기증식도 진행됐다.
잠발체렝 사무차관은 "몽골에서 축산업은 농업 총생산량의 약 86.1%를 차지할 정도로 주력 산업이지만, 축산 기술 수준이 낮고 기후변화와 초지 황폐화 등의 문제로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KOPIA와 협력해 현대 축산 기술을 도입하고 몽골 축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몽골 축산업 발전 방향 세미나'와 '케이(K)-동물약품 수출상담회'도 함께 열렸다.
수출농업기술과는 ▲한국형 우량 유전자원 ▲조사료·첨가제 활용 배합 기술 ▲현대식 낙농 기술의 몽골 실증계획을 발표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몽골 6개 지역에서 수행한 질병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외부 기생충 관리와 유방염·피부염 관리, 항생제 활용 염증 치료,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기술 등을 소개했다.
국내 동물약품 기업 3개 사는 자사 기술력과 제품 효능을 상세히 소개하며 실질적인 수출 성과 창출에 주력했다.
임기순 원장은 "이번 출범식을 계기로 KOPIA 사업을 통한 현지 맞춤형 축산 기술 보급과 지속 가능한 축산물 생산 체계 구축이 본격화됐다"며 "앞으로 질병 관리, 가축 개량, 동물 사료를 포함한 케이(k)-축산 기술을 지속 보급해 KOPIA 몽골 사업이 대한민국 공적개발원조 대표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이날 출범식 전경.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