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버 아뜰리에 우륵-덩실덩실 우리춤교실 수업 모습. |
예술과 공동체, 세대가 어우러지는 도시로의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충주시와 (재)충주문화관광재단은 24일 2025년 대한민국 문화도시 지정 이후 시민 주도의 문화사업이 지역 전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문화도시 사업에는 지역 예술인 139명과 예술단체가 참여해 충주 시내 146개 장소에서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특히 시민 체감형 문화 향유 지원사업인 '소소한 호강'과 '창의적 나이듦'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다.
'소소한 호강'은 5월부터 동네 카페, 공방 등 일상 공간을 무대로 민요와 공예, 국악과 서양음악, 보드게임 제작 등 취향을 공유하는 소모임과 다채로운 살롱 콘서트를 운영한다.
클래식, 국악, 재즈 공연부터 북콘서트, 전시까지 시민의 취향을 반영한 행사가 11월까지 총 99개소에서 이어질 예정이다.
노년층을 위한 '창의적 나이듦' 프로그램도 활기를 띠고 있다.
'실버 아뜰리에: 마실'은 예술인이 노인복지기관을 방문해 인문학 수업, 민요 합창, 어반스케치 등 다양한 문화수업을 진행한다. '
또 실버 아뜰리에: 우륵'은 지역 예술인의 작업실과 연습실 30곳에서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성악, 문인화, 천아트 등 예술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11월 중순까지 운영된다.
상반기 국악 축제 '충주본색'은 사물놀이 몰개, 앙상블 시나위, 소리꾼 이미정, 이규증과 친구들 등이 무대에 올라 충주의 국악 저력을 보여주며 큰 호응을 얻었다.
시는 하반기에도 시민 주도의 문화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지역 문화생태계 조성 ▲생활문화 확산 ▲융복합 문화관광 활성화 ▲문화예술 창작 역량 강화 ▲미래세대 문화교육 확대 등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천경순 시 문화예술팀장은 "문화도시는 시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직접 경험하며 도시의 정체성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며 "충주는 전통과 미래가 공존하고 세대가 어우러지는 시민 중심 문화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 문화도시 충주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충주문화관광재단 문화도시센터 또는 인스타그램(@cccj2022), 카카오톡 채널(충주예술가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