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9월호를 위한 편집회의가 8월 4일에 있었다. 카톡 단체방에 미리 올라온 기획안에 정해조 교수 인터뷰 특집기사가 4페이지 할당되어 있었다. 지난달부터 세게 들어오는 압박을 피할 길이 보이지 않았다. 사실 취재를 망설였던 것은 필자의 지독한 I성격 탓이다. 글을 쓰기 싫은 게 아니라 모르는 사람을 만나는 게 쉽지 않아서다. 이런 어리숙한 성격이 육십이 다 돼가는데 나아지질 않는다. 어쨌든 취재를 위해 검색을 했다. 유력 일간지 여럿에서 신입회원 선출 소식을 전하고 있었지만 정작 대전 지역 언론에서는 단 한 줄의 글도 검색할 수 없었다.
'옻칠공예가 정해조 작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선출'이라는 옥천신문의 기사가 유일했다. 그마저 한 단락만 노출되어 있고 더보기를 눌러야만 나머지 기사를 읽을 수 있었다. 로그인과 유료 구독을 해야만 하는 팝업창이 떠, 그대로 닫았다. 재정이 열악한 지방 독립신문의 사정은 백번 이해하지만, 구독 회원이 아니면 기사를 읽을 수 없는 인터넷 신문을 처음 보고 놀랐다. 하여튼 연락처도 없고 관련 기사도 너무 부족했다. 기사를 쓸 거냐 말 거냐, 연락처 수배를 위해 예술원에 직접 공문을 보내보자는 의견 등이 지난 4일 편집회의의 가장 중요한 이슈였다.
네이버에 '예술원' 키워드를 빼고 '정해조'를 검색했다. 'www.ottchil.co.kr'라는 도메인과 'Welcome Page'가 눈에 들어왔다. 'Introduce' 메뉴를 클릭하니 '간력'이라는 생경한 타이틀 아래 정해조 교수의 이력이 주르륵 보였다. 손가락으로 스크롤 하니 010으로 시작하는 숫자가 있었다. 연락처를 백방으로 알아보고 있던 조성남 관장에게 반신반의하며 번호를 건넸다. "정해조 교수님! ××아파트에 같이 살던 조성남입니다. 바이칼 여행도 함께 했었죠. 너무 반가워요. 예술원 회원이 되신 걸 축하드립니다."
카페에 있던 편집위원들이 모두 귀를 쫑긋 세우고 통화를 엿들었다. 곧바로 필자에게 핸드폰이 전해졌다. "대전예술 미술분야 편집위원 조부연입니다. 너무 축하드리고요. 특집기사를 위해 인터뷰를 부탁드립니다……" 7일 목요일에 뵙기로 하고 전화를 끊었다. 7일 오전 11시 30분에 용전동의 대전문학관 앞에서 조성남 관장을 태웠다. 정해조 교수와 통화했는데 점심을 함께 하자고 하셨단다. 옥천 가는 길에 칼국수 한 그릇으로 점심을 때우려 했는데 갑자기 점심 초대를 받았다. 휴대전화 T맵에 주소를 입력하고 길 안내받았다. 판암동으로 가는 익숙한 길 대신에 오래된 구불구불한 산길을 안내 받았다. 도심을 피해 세천으로 빠지는 길이었다. 정해조 교수의 자택 겸 작업실은 대청호로 흘러가는 계곡 곁의 배산임수 명당에 자리 잡고 있었다. 아담한 체구의 예술가가 우리를 반겼다. 그리고 오랜만에 별미인 송어회를 함께 먹으며 새로운 사람과의 어렵지 않은 첫 만남이 됐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