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7월 9일 부여에서 진행된 전국시도교육감회의회서 설동호(뒷줄 맨 왼쪽) 대전교육감을 비롯한 전국 교육감들이 기후위기·환경재난시대 학교환경교육 비상선언을 진행하고 있다.중도일보DB |
대전교육청 직속기관인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교육정책연구소가 25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DEPI 소식 12호에는 6월 초 진행한 '대전생태전환교육센터(가칭) 설립을 통한 생태전환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중간 분석 결과가 포함됐다.
2025년 3월부터 진행한 연구는 연구 과제명에서부터 알 수 있듯 대전생태전환교육센터 설립을 통해 생태전환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역과 연계한 특화 교육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중간 분석 결과에는 생태전환교육센터 설립이 장기적 검토 대상으로 분류돼 있다.
아직 위탁연구가 마무리된 것은 아니지만 중간보고회를 거쳐 발간된 DEPI 소식에는 "대전교육청은 '에코-사이언스 랩 대전'이라는 비전 아래 다양한 생태전환교육을 추진 중이나 1인 전담 인력 체계의 한계로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정책 추진은 어렵다"며 "이를 극복하고 생태전환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명확한 생태전환교육 콘셉트와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환경교육을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통합하고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해 교육의 효과를 확산하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담겨 있다.
이어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단계적인 조직 확대와 인원 충원이 필요하다"며 "초기에는 '생태전환교육 전담팀'을 신설하고 중기적으로는 독립적인 '생태전환교육과(팀)'로 확대하며 장기적으로는 '대전생태전환교육지원센터' 설립을 검토해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기재됐다. 해당 연구는 인덕대 손상희 교수 연구팀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중간 분석 결과는 센터 설립은 장기 과제로 미루고 우선 현재 1인 체계인 전담 인력을 늘리는 것을 제안하는 수준에 머문다. 이미 타·시도교육청이 자체 생태전환교육센터나 직속기관을 통해 생태전환교육을 교육 전반에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대전교육청은 전담 인력 충원에서 그칠 가능성이 큰 대목이다.
연구 용역의 연구협력관으로 참여하며 대전교육 전체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본청 과학직업정보과 담당자가 외부 위탁연구 과정에 센터 설립 현실화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한 사실도 전해진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유형적인 건물을 건립하기엔 부지나 재원 등 어려움이 있다는 내용을 알렸다"며 "센터 설립이 당장은 어려우니 그래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실 적용 가능성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앞서 중도일보는 기후위기 시대 대전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이 타 시·도보다 소극적인 문제를 지적하며 생태전환교육센터 설립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대전교육청은 당장 건립 위치나 예산 문제를 지목하고 있지만 센터 설립을 위한 교육감의 의지 부족이 결정적이란 해석이다. 이미 대전교육 구성원은 2022년 자체연구를 통해 생태전환교육센터 설립 필요성을 제안했지만, 센터 설립에 대한 고민은 적극적이지 않다. 2021년 대전수학문화관 개관 이후 4년 만에 제2수학문화관 건립을 추진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위탁연구는 현재 인덕대 연구팀이 실시 중이며 10월 초 최종보고회를 통해 11월쯤 보고서로 작성될 예정이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