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교통수단 시범사업 노선도. 사진=대전시 제공 |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신교통수단(3칸 굴절차량) 시범사업을 위해 지난달 중국 CRRC의 'ART(Autonomous Rail Transi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모델 차량 3대의 구매 계약을 완료했다.
초도 차량 1대는 10월 납품되고 나머지 2대는 12월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12월부터는 차량 안전인증 절차를 병행할 계획이다. 인증은 '한국자동차안전연구원'에 진행한다. 신교통수단(3칸 굴절차량)은 국내 인증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대전시는 한국자동차안전연구원과 항목별로 협의 중이다. 10월 초도 차량이 들어오면 본격적인 인증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차량 차고지와 정거장 등 기반시설 설계 용역은 4월 착수해 10월 중 마무리 될 전망이다. 바로 공사 발주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내년 2월 착공·3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시설 공사와 차량 인증이 마무리되면 시범운행에 돌입할 방침이다.
시범사업에 사용될 차량 전장 31m, 최대속도 75km/h, 회전반경 15m, 정원 270명, 배터리 용량 294kWh, 플러그 방식 고속 충전 시스템을 갖췄다. 정원은 최대 270명이다.
자동조향 시스템과 가상궤적 기반 무인운전 기능이 탑재됐으며, 100퍼밀 경사도로도 주행할 수 있다. 시범노선은 유성온천역과 가수원 네거리를 잇는 7.8㎞ 구간이다.
정림동 삼거리에서 충남대 구간은 향후 트램 혼용을 고려한 구조로 설정됐다. 시는 해당 노선에 맞춰 전용차로를 포함한 도로 구조를 일부 개선할 방침이다. 회전 반경이 작고 정밀 운행이 필요한 차량 특성상, 기존 BRT 도로 일부는 재정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총 사업비는 150억 원 규모다.
대전시가 추진 중인 '3칸 굴절차량'은 기존 도시철도 사업의 단점을 보완한 신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도시철도에 비해 사업비와 공사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비교적 적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트램도 평균 5년 이상의 공사와 수천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지만, 전기굴절버스는 기존 도로망을 활용해 2~3년 내 운행이 가능하다.
다만, '3칸 굴절차량'도 트램의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트램은 도로에서 달리기 때문에 좁은 도로에서는 교통 혼잡을 유발할 수 있고, 기존 도로에 편입된다면 교통 시스템 변경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여기에 '3칸 굴절차량'는 트램에 비해 승차감 등 편의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트램 사용이 감소한 시점은 1920년대 이후로, 버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이 감소했는데 버스와 BRT 등에 비해 우수성을 입증해야 한다.
국비 확보에 대한 노력도 필요하다. 대전시는 정부에 미래형 교통수단 실증을 위한 '신교통수단(3칸 굴절차량) 시범사업'에도 공사비 35억 원의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국내 최초로 국토교통부의 모빌리티 혁신위원회 규제 실증특례 심의를 통과하는 등 대전만이 아니라 저비용 고효율 대중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사업인 만큼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
시 관계자는 "전기굴절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환경성과 효율성, 경제성을 동시에 겨냥하는 도시 교통의 새 모델"이라며 "사업이 정상 추진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국비 확보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