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성천초 전경. NAVER 지도 |
과밀특수학교(급) 해결 시민대책위를 비롯한 13개 시민·교육·종교단체(이하 대책위 등)는 28일 입장문을 내고 "대전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대전성천초의 특수학교 전환을 긴급하게 고려하라"고 요구했다.
서구 월평동 도심속 자리한 대전성천초는 지속적인 학생 수 감소로 2022년부터 폐교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도보 2분 거리에 있는 대전성룡초가 모든 학생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학부모 대상 설문 등을 거쳐 2027년 3월부턴 성룡초와 통합키로 2025년 1월 결정했다.
학생이 빠져나간 학교 공간은 학부모와 교직원 등의 의견을 수렴해 학생 교육활동과 지역주민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 일대 주민들은 도서관이나 생활체육시설 등 복합커뮤니티 기능을 하는 시설을 희망했다.
그 결과 이달인 8월 22일 대전시·서구·대전교육청이 '학교복합시설 공모사업 추진 기본협약'을 체결하며 방향을 잡았다. 교육부 학교복합시설 공모사업 신청을 추진할 계획으로, 학습·돌봄 공간과 체육·주민편의 프로그램 도입 등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추진 방안에 대해 대책위 등은 적절치 않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대전교육청을 통해 장애아동의 교육권 보장을 요구했지만 2029년으로 미뤄진 서남부특수학교 개교 말고는 이뤄진 게 없다는 것이다.
당장 2026학년도 취학 예정인 특수학교 입학 희망자 중에서도 근거리 입학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대책위 등은 특수학과 과밀 문제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이 이르렀다며 비판하고 특수학교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대책위 등은 "정작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를 외면하면서 주민편의 증진이라는 명분으로 행정적 성과를 내세우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일 뿐 아니라 대전 서구를 포함한 장애학생에 대한 차별적 행정"이라며 "대전교육청과 서구는 더 이상 장애학생의 교육적 소외를 방치하지 말고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책임 있는 행동에 나서 달라. 이것이 시민을 위한 진정한 행정"이라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