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세로 태안군수가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사업의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 반영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진은 3일 세종시 지방시대위원회에서 김경수 위원장을 만난 가세로 태안군수 및 관계자 모습. (태안군 제공) |
가세로 태안군수가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사업의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 반영을 정부에 건의했다.
군에 따르면 가 군수와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추진위원회' 김원대 민간위원장 등은 3일 세종시 지방시대위원회를 찾아 김경수 위원장을 만나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의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 우선순위 사업 반영을 요청했다.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이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전국을 고르게 발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컨트롤타워를 맡는다.
태안군민의 50년 숙원으로 손꼽히는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사업은 바다로 막힌 태안군 이원면 내리 만대항과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를 총 연장 2.7km의 교량으로 연결하는 사업이다.
태안군 민선7·8기 공약인 광개토 대사업의 핵심 사업으로 올해 1월 해당 사업이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에 포함됐으며, 8월에는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도 포함돼 사업 추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가 군수는 "올해부터 태안지역 석탄화력 1~8호기의 단계적 폐지가 시작되면 인구 및 세입 감소 등 지역경제 손실이 예상된다"며 "태안은 고속도로와 철도가 없어 지역 접근성이 제한되고 있는 만큼 교량 건설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언급했다.
서해안의 대표 관광휴양도시인 태안군은 지난해 1770만 명이 방문하고 있으며, 교량 건설 시 태안 이원면에서 송악IC까지 이동시간이 105분에서 35분으로 단축돼 수도권 1시간대 생활권이 형성되며, 국도 단절구간 해소로 '서해안 스마트 하이웨이'가 완성돼 국토의 효율적 활용이 기대된다.
가세로 군수는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은 지역의 생존과 미래 발전을 바라는 태안군민의 간절한 염원이 담긴 사업"이라며 "해당 사업이 국가균형성장 종합계획에 반영돼 지역의 새로운 미래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군민 여러분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