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발전, 'KOWEPO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포럼' 개최

  • 전국
  • 태안군

서부발전, 'KOWEPO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포럼' 개최

본사 태안 이전 10주년 맞아 미래 발전 방향 모색
글로벌기업 도약 위해 해상풍력·태양광·수소 등 재생에너지 확대

  • 승인 2025-09-04 10:33
  • 김준환 기자김준환 기자
KOWEPO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포럼
한국서부발전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아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하는 미래 사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산·학·연·관 전문가 100여명과 머리를 맞댔다. 사진은 KOWEPO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포럼 모습. (한국서부발전 제공)


한국서부발전(사장 이정복)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아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하는 미래 사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산·학·연·관 전문가 100여명과 머리를 맞댔다.

서부발전은 3일과 4일 이틀 동안 본사 이전 10주년을 맞아 충남 태안 본사에서 '코웨포(KOWEPO) 미래에너지 포럼'을 진행하고, 국내 에너지 정책 동향과 서부발전 에너지 전략발표 등 서부발전의 미래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태안군, 연세대학교, 삼성E&A 등 국내외 산·학·연 협업 기관 관계자와 프랑스국영전력공사의 신재생자회사인 EDF-R, 파워차이나 등 서부발전의 해외 협력회사가 참석해 서부발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미래에너지 대응 방향에 대해 건설적이고 전문적인 토론이 이뤄졌다.



이번 포럼은 서부발전이 본사 태안 이전 10주년 기념으로 추진하는 '텐(10주년)-텐(10가지 프로그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부발전은 '함께한 10년 같이 갈 100년'을 슬로건으로 정하고 연말까지 지역주민 동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어린이 교육과 공연, 영화 상영, 명사 강연, 디지털 기술 교육, 일자리 박람회 등 다양한 지역 협력 사업을 포함한다.

참석자들은 개막식 이후 안면도 아일랜드 리솜으로 이동해 본격적으로 분과별 포럼에 참여했다. 서부발전과 태안군,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공통포럼에서는 '서부발전 에너지전환과 분야별 미래에너지 전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포럼 이튿날인 4일에는 해상 풍력, 태양광발전, 수소에너지, 해외사업, 에너지 효율화 등 분야별 전문포럼이 진행돼 정책 현황, 산업 경향, 국내외 사례, 최신 기술 동향 등이 공유된다.

이번 '코웨포 미래에너지 포럼'은 석탄 화력발전 폐지와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시대적 과제 속에서 서부발전이 태안군과 새로운 길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정복 사장은 "태안에서의 10년은 서부발전과 지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준비한 시간이었다"라며 "앞으로의 100년은 긴밀한 지역 협력을 바탕으로 에너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여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40년까지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고 수소발전·해외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해 무탄소 발전량 32TWh, 신사업·해외사업 매출 2조 3천억 원을 달성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전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