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선택 전 대전시장 |
민주당 안팎에선 권 전 시장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는 게 공통된 얘기다. 사면복권과 12·3 비상계엄 사태 후 더 활발해졌다고 한다. 보류됐지만 8월에 복당까지 신청한 것도 출마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모 인사는 “출마를 위해 복당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출마하지도 않는데, 복당하려고 애쓰는 건 더 이상하다”고 했다. 물론 “사법적 문제로 당적을 잃었고, 사면복권이 된 만큼 복당을 명예회복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한 인사도 있다.
그렇다면 과연 권 전 시장은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까. 복당이 허용돼 정기적으로 당비는 내는 권리당원이 되면 출마 자격을 얻는다. 하지만 다음 주 예정된 대전시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가 보류한 복당 안건을 부결하면 권 전 시장은 6개월간 복당을 신청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내년 3월 말이나 4월 초는 돼야 재신청할 수 있는데, 그때 의결된다고 해도 이미 지방선거가 두 달 정도밖에 남지 않아 현실적으로 출마는 어렵게 된다. 현재 당내 일부 인사들이 권 전 시장의 복당을 강하게 반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물론 대전시당에서 부결돼도 중앙당에 재심을 신청하는 절차도 있지만, 자칫 상당한 반발을 일으키는 역효과를 낼 수 있어 신중한 분위기다.
모 국회의원은 “권 전 시장이 출마가 아니라 당을 위해 복당한다면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국회의원은 물론 당원들과 충분한 시간을 갖고 소통한다면 의심하거나 반대하는 여론도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 |
권선택 전 대전시장 |
내년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하는 당 사무총장인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은 “복당은 받아들이는 게 맞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은 “당연히 허용해야 한다. 특정 또는 개별 사안이 아니라 전체를 봐야 하는 중앙당이 직접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했다.
대전시장 출마를 준비 중인 허태정 전 대전시장은 “당에 기여한 분의 복당을 보류한 건 좋은 모습은 아니지만, 영향력이 큰 분이다 보니 아마 민감한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그럼 대전시당 당원자격심사위가 일부 반발을 무릅쓰고 복당을 의결한다고 해도 권 전 시장은 출마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쉽지만은 않다. 중앙당 재심을 통과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복당을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대부분의 인사들이 내건 전제 조건이 선거 불출마이기 때문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복당 후 대선배님, 어르신으로서 역할을 해주신다면 괜찮지만, 출마는 지양해야 한다”며 “복당을 출마로 연결한다면 분란을 초래할 뿐 아니라 그동안의 공적도 무너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 전 시장 재임 시절 정무부시장을 지낸 백춘희 대전문화재단 대표도 “나 역시도 (출마는) 반대다. 사면복권이 됐다고 대전시장에 다시 출마할 명분이 생긴 건 아니다. 지역의 어른으로서 역할을 고민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권 전 시장의 브레인 역할을 했던 한 인사는 “복당은 당연하지만, 전임 정부 시절 국힘의 도움으로 사면복권이 됐다는 걸 아는데… 민주당원들의 반발은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여전히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인사는 “(복당이) 선출직 출마 때문이라는 얘기가 많은데, 어떻게 출마하겠나. 복당 자체가 명예회복이라고 본다”며 “나중에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이 주어지면 좋겠지만,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