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24 등 일부 시스템 복구가 이뤄진 29일 오후 1시께, 대전의 한 행정복지센터에는 복구 작업이 늦어지는 민원 처리를 안내하기 위해 공지문을 붙여놨다. (사진= 김지윤 기자) |
29일 오전 9시 40분, 대전 둔산1동 행정복지센터. 한 달 뒤 예정된 제주도 여행을 위해 주민등록증을 재발급받으려 찾아온 김용기(86·가명)씨는 허탈한 표정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TV 뉴스에서 '일부 전산망 복구' 소식을 접하고 센터를 찾았지만, 해당 업무는 여전히 중단된 상태였다.
김씨는 "정부가 인터넷으로 실시간 공지한다지만 고령층은 접근하기 어렵다"며 "직원분이 알려주긴 했지만, 집에 돌아가서 다시 시도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 이후 첫 평일. 주요 전산망은 부분적으로 복구돼 행정창구가 '개점휴업' 사태를 피했지만, 곳곳에서는 불편과 혼선이 남았다.
행정센터 직원들은 주말부터 전산망을 수시로 점검하며 상황을 지켜보며 긴장감을 늦추지 못했다.
복구 일정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보니 주민 민원이 잦은 행정센터 담당자들은 주말부터 근무하며 시스템을 계속 확인, 이날 역시 새벽같이 출근해 상황을 계속 지켜봤다.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과 인감증명서 등 핵심 업무는 영업 시작 직전 가까스로 정상화됐지만, 무인발급기 고장은 오전 내내 이어졌다. 센터 문이 열릴 때까지 대기하던 시민들은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공무원들의 고충도 만만치 않았다.
주요 전산망이 불안정해 결재 서류를 수기로 작성하거나, 팩스와 전화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속출했다.
특히 복지 담당자들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의료·교육급여, 아동수당, 기초연금, 에너지 바우처 등 복지서비스를 온라인으로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복지로' 시스템이 오전까지 멈추면서 방문·전화 민원을 일일이 수기로 접수해야 했다.
다행히 핵심 복지 시스템인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은 자료 재정비를 위해 10월 1일까지 사용 중단이 예고돼 있어 큰 혼란은 없었다. 하지만 관련 서류 처리 지연을 우려한 담당자들은 사전 대책을 세우느라 진땀을 흘렸다.
정부 포털 '온나라 시스템'은 일부 기능만 복구돼 같은 시·도끼리 문서 교환만 가능했고,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로 근태 관리와 초과 근무 수당 지급을 위한 출퇴근 시간 관리 시스템 오류로 수기 작성해야 했다.
대전의 한 공무원은 "접속이 느리고 끊기는 오류가 남아 있다"며 "부처 간 문서는 결국 팩스로 주고받아야 했다"고 털어놨다. 김지윤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