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가 전산실 재난·재해로 인한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비하기 위해 재해복구(DR·Disaster Recovery)시스템을 확대 구축하고, 11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충주시 제공) |
이번 시스템은 신속 복구와 데이터 안전을 동시에 확보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재해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시는 전산실 재난·재해로 인한 정보시스템 장애에 대비하기 위해 총 5억 원을 투입해 재해복구(DR·Disaster Recovery)시스템을 확대 구축하고, 11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2일 밝혔다.
재해복구시스템은 화재나 정전, 침수 등 각종 재난으로 전산실이 마비되더라도 업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대체 시스템을 즉시 가동해 행정업무를 신속히 복구하는 체계다.
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국 지자체의 재해복구체계 강화 필요성이 커진 가운데 시는 선제적으로 대응해 DR센터 구축에 나섰다.
기존 시스템이 단순 데이터 백업 수준에 머물러 재해 발생 시 업무 재개까지 장시간이 소요됐던 한계를 개선한 것이다.
시는 올해 3월부터 관내에 새로운 DR센터를 구축해 10월 공사를 완료했다.
새 시스템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UPS(무정전 전원장치)로 화재 위험을 줄였으며, 본청 주 전산센터의 행정자료를 실시간 백업하고 동일한 서버 환경의 대체 시스템을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화재·정전·누수 등 장애 상황에서도 행정업무를 1일 이내 정상화할 수 있는 복구체계를 확보했다.
이번 사업으로 온나라 2.0 등 내부업무 32종과 시 대표 누리집·통합예약·대형폐기물 등 외부업무 24종 등 총 56종의 행정시스템이 DR센터를 통해 이중화됐다.
이에 따라 행정포털, 예산정보, 부동산종합공부 등 주요 내부 업무는 물론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각종 온라인 행정서비스도 재해 상황에서도 하루 이내 복구가 가능해졌다.
김주상 정보통신과장은 "이번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으로 재해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하루 만에 복구하고 행정을 정상화할 수 있게 됐다"며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정보시스템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주시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당시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해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했으며, 새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상담·민원 신청 등의 대체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 바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