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이 사업을 지역 콘텐츠산업 발전의 핵심 거점사업으로 보고 힘을 보태고 있는데 '돈 줄'을 쥔 기획재정부 예산심사에선 연거푸 고배를 마셨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당초 2028년 완공 목표가 2030년 이후로 미뤄질 우려가 커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7일 취재에 따르면, 시가 추진 중인 웹툰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올해 10월 중 중앙투자심사 상정을 목표로 했지만 국비 확보가 지연되며 심사 절차조차 착수하지 못한 상태다.
웹툰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총사업비는 399억 4000만 원(국비 166억, 시비 233억) 규모로, 동구 중동 대전역 인근에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4909㎡ 규모의 건물을 신축해 웹툰 인력양성과 기업육성 등 웹툰 산업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는 내용이 골자다.
대전시는 2023년부터 특수영상 클러스터와 함께 웹툰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현재 두 사업의 희비는 엇갈리고 있다.
특수영상 클러스터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78억원이 반영돼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웹툰 클러스터는 2년째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해 답보 상태이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문체부·기재부와 협의를 시작으로 지난 9월 국회 예산 설득전까지 예산 확보를 위한 전방위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대전시가 정부에 건의한 10대 핵심사업 가운데 웹툰 클러스터는 최근 정부 예산안에서 미반영 사업 중 우선순위 3순위로 올라섰다. 시와 문체부는 올해 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증액 반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체부는 이미 이 사업을 K-콘텐츠 육성정책과 지역 균형발전 전략의 핵심사업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선 충청권은 웹툰 인재풀이 두텁다. 지역 내 4개 대학에서 웹툰 관련 학과 재학생이 600명을 넘고, 권역별 신입생 수로 보면 수도권(1142명)에 이어 충청권이 939명으로 두 번째로 많다.
시 역시 매년 7억 원 가량의 시비를 투입해 웹툰 작가양성·IP 확장·AI창작 등 콘텐츠 생태계 조성사업을 지속해왔다. 또 대전 웹툰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대학과 협업해 웹툰학과·창작캠프·테스트베드 등 창작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건물만 들어서면 이미 구축된 인력과 산업 인프라가 결합해 대전이 명실상부한 웹툰 중심 거점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인 것이다.
새 정부가 K-콘텐츠 산업을 핵심 국정과제로 제시한 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대전은 이미 수년 전부터 영상·웹툰 기반 생태계 조성에 나서온 만큼 정부의 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기조와 맞물려 지역 콘텐츠산업을 본격 성장궤도에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관건은 국비 반영 여부다.
내년도 정부 예산에 포함되지 않으면 중투심 일정 자체가 무산될 수밖에 없다.
대전시는 내년 1월 중투심을 의뢰해 4월쯤 결과를 받고, 추경을 통해 시비를 확보한 뒤 실시설계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 예산이 또 빠진다면 설계조차 시작하지 못한 채 사업은 사실상 장기 표류하게 된다.
완공 목표인 2030년 역시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만 가능한 수치일 뿐, 국비가 계속 미반영될 경우 사업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전시 관계자는 "매달 국회와 문체부, 기재부를 찾아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서면 질의서를 제출하고 있다"며 "지난 16일 기재부 방문 때는 긍정적인 답변도 받았다"고 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최화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