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 소속 회원들이 2023년 4월 4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이태원 참사 159일, 세월호 참사 9주기를 맞아 기억다짐 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먼저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 "159명의 안타까운 희생을 깊이 추모하며, 여전히 고통 속에 계신 유가족과 생존자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시당은 "늦었지만 의미 있는 걸음이다. 특별조사위원회는 참사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늦어진 진상 규명은 조속히 마무리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을 향한 2차 가해는 중단되어야 하며 생존자와 구조 인력까지 포함한 모든 이들의 온전한 치유와 회복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다시는 이와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 대전시당도 같은 날 논평을 통해 "참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남겨진 가족의 삶과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국가의 책무가 완성될 때까지 애도는 '지속되는 실천'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시당은 구체적 방안으로 ▲특별법 개정 ▲혐오와 차별의 2차 가해 중단 ▲대규모 인파 행사에 대한 사전 위험평가 도입 ▲밀집도 기준에 따른 실시간정보 체계 매뉴얼 반영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유가족의 슬픔에 말로만 공감하지 않겠다"며 "실천으로 애도하고, 제도로 응답하겠다.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전에서부터 안전의 표준을 세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도 사회적 책임과 재발 방지에 한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국회의원은 "10·29를 기억하는 정치란 무엇일까 생각한다"며 "안전국가 건설이 단지 경찰의 수를 늘리거나 CCTV를 더 다는 행정적 조치에만 그치는 건 아닐 것이다. 다시는 윤석열 같은 대통령을 만들지 않는 것, 튼튼한 국가도 일거에 무너뜨리는 폭군을 세우지 않는 것이 진짜 제대로 된 국가의 길"이라고 말했다.
허태정 전 대전시장은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하고 행동하겠습니다"라는 다짐을 남겼다.
권인호 민주당 대전시당 청년위 수석부위원장은 "스러져 간 159명의 작은 별들을 추모한다"며 "국가와 행정의 무능과 공백으로 일어난 참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3주기를 기억한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송익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