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역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데 이어 올해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로 대전조차장 부지와 함께 안산선 초지역~중앙역 구간과 부산진역~부산역 구간 경부선 선로 부지 등 3곳을 선정했다.
이어 국토부는 12월 예정으로 추가 지하화 노선이 포함된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을 수립 중이다.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이란, 철도부지를 출자받은 사업 시행자(정부출자기업)가 채권 발행을 통해 철도지하화 사업을 시행하고, 지하화하면서 생기는 철도 부지와 주변 개발을 통해 발생하는 수입으로 지하화 사업비를 상환하는 사업이다.
대전시는 현재 국토부에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대상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5월에 대전역 철도입체화 통합개발 종합계획 사업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대전시는 정부의 적극성에 추가 지정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국토부가 사업성이 있는 노선의 수익을 사업성이 떨어지는 노선에 배분하는 교차지원 방식을 검토 중이어서 12월 발표 때에는 2월 선도지구 발표보다 철도 지하화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 구간 주변은 민자 역세권 개발과 혁신도시·도심융합특구 등 개발 여건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전시는 철도를 지하화하면 대규모 사업비가 필요한 만큼 이를 대신해 대전역 부지를 그대로 살리면서 기존 철도 위에 '데크형'으로 별도의 상부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타 사업에 비해 부담감이 덜하다.
대전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12월 예정으로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으로 전국 지자체들의 경쟁이 치열하다"면서 "수도권 등에 비해 사업성이 높지 않아 추가 반영이 쉽지는 않지만, 지역에 꼭 필요한 사업인 만큼 국가균형발전 등을 고려할 때 선정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2월 선도지구로 선정된 대전조차장 이전·철도입체화 통합개발 기본계획 발주를 11월에 진행할 예정이다.
용역비는 총 20억원으로 사업 기간은 2년으로 2027년 11월 예정이다. 조차장 입체화 사업은 1조4295억원 규모로, '데크 조성형 입체화'를 통해 철도 선로 위에 덮개를 씌워 지상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부지에 청년 창업지구와 IT 특화단지를 조성해 원도심 재구조화가 핵심이다.
대전시는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착공에 들어가 2040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상문 기자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03d/118_202511030100009220000300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