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군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건강·복지·사회통합·안전·환경 등 14개 부문 58개 항목으로 구성해 2024년 5월 표본으로 선정된 960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 대상 진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가구 월평균 소득은 300만~400만 원 미만이 19.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 중 300만 원 미만 가구 비율은 46.0%로 전년 57.6% 대비 11.6% 감소해 군민 경제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삶 만족도와 지역생활 만족도가 6.62점으로 같은 점수를 보이며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노인의 주요 고충은 경제적 문제 35.1%, 외로움·고독 24.0%, 건강 문제 19.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9세 이상 군민의 66.6%는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해 노후 대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혼에 대한 태도에서도 긍정적 응답이 62.6%로 부정적 4.3%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출산 의향에서는 '남녀 구별 없이 낳겠다'가 8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선호 자녀 수는 '남녀 구별 없이 2명'이 42.1%로 가장 많았다.
반면 출산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양육비 부담 50.3%, 과도한 경쟁과 교육 환경 부담 32.5%, 나보다 나은 삶을 물려줄 수 없어서 24.1% 등이 꼽혔다.
군이 타 지자체 대비 살기 좋은 도시인지 묻는 질문에 '상위 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3.7%로 '하위 수준'3.7%보다 월등히 높았다.
'상위 수준' 응답은 2022년 대비 7.4% 증가해 정주 만족도가 향상되는 추세다.
군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복지·청년 분야 등의 실질적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박용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