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철저 대비” 24시간 긴장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홍수 철저 대비” 24시간 긴장

공정률 금남보 99%·백제보 98% … 마무리 한창 집중호우 대비 가물막이·임시시설물 대부분 철거

  • 승인 2011-06-26 15:09
  • 신문게재 2011-06-27 5면
  • 조성수 기자조성수 기자
[르포] - 장마철 맞은 금강살리기 현장 가보니…

▲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 금강살리기 6공구 백제보 현장에서 우기철을 대비해 덤프트럭을 비롯한 중장비가 바쁘게 오가고 있다.
▲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 금강살리기 6공구 백제보 현장에서 우기철을 대비해 덤프트럭을 비롯한 중장비가 바쁘게 오가고 있다.
전국에 장맛비가 뿌리던 지난 24일 연기군 금남면 금강살리기 세종 1지구 금남보 공사 현장.

현장 직원들이 둔치 등 천변에 있던 중장비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등 분주한 모습이었다.

세종 1지구 공정률은 94.40%, 금남보 공정률은 99.03%로 현재 마무리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장마에 대비해 가물막이는 대부분이 철거됐다.

장마철 금강살리기 현장의 수해대책 취재차 방문했다는 기자의 설명에 “장마철 피해가 없도록 철저한 수해방지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고 시공사 관계자는 강조했다.

물흐름을 방해하는 가물막이, 임시시설물들은 대부분 철거됐고 각종 상황별 시나리오, 호우 단계별 수해대비책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박태균 세종1지구 현장소장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수자원공사, 금강홍수통제소 등과 실시간으로 대청댐 방류량, 금강 수위 등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며 “우기철은 실시간으로 금강수위를 점검하면서 관계기관들이 함께 현장을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소장은 “준설로 강폭이 평균 150~160m에서 400m이상으로 넓어졌다”며 “이에 따라 수위도 평균 1m가량 낮아져 같은 비가 와도 물그릇 자체가 커졌다”고 덧붙였다.

세종 1지구 현장을 떠나 백제 큰길을 따라 금강살리기 6공구 백제보 현장까지 차를 타고 이동했다.

이곳도 'ㄷ'자 모양의 시트파일과 모래로 쌓은 가물막이는 98% 이상 철거된 상태였다. 일부 시트파일만 남아있고 장마철 호우에 대비 덤프트럭을 비롯한 중장비가 굉음을 내며 육상준설작업을 마무리하고 있었다.

GS건설 관계자는 “가물막이가 철거되고 백제보 수문을 열어 홍수에 대비해 24시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면서 “태풍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사현장에는 준설된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천막과 비닐로 덮고 밧줄로 단단히 고정해 놓았다.

조효재 금강 6공구 공무팀장은 “현재 백제보는 97.88%의 공정률을 보이며 가물막이도 98% 이상 철거해 물길을 확보했다”면서 “장마철 집중호우가 내려도 본류에는 커다란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금강살리기 본류 현장은 기상상황과 예상수위를 고려해 경보단계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4단계로 구분해 행동요령을 마련했다.

관심단계는 호우 예상 시, 주의단계는 기상 예비특보 발령 시·보 및 참조수위 주의도달·수위상승 시(10cm/30분) 행동요령이다.

경계단계는 호우 및 태풍주의보 발령·참조수위 경보수위 도달 시, 심각단계는 호위 및 태풍경보발령·참조수위 월류수위 도달 확실시로 분류됐다.

인터뷰 내내 조 팀장의 휴대전화에는 기상청, 금강홍수통제소, 수자원공사 등의 실시간 수위, 방류량, 날씨정보 등이 문자로 전달됐다.

이같이 수해대책매뉴얼 등을 마련해 관리하고 있는 금강본류사업과는 달리 금강지류 피해에 대한 우려는 높아 보였다. 지류에 대한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충남도 금강비전기획위원회도 호우로 금강살리기 사업구간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위원회는 ▲본류와 지천 하류 합류부 하상유지공 설치 여부 조사 ▲하천 공원의 침수현상 모니터링 등을 제안했다.

금강비전위는 “시민단체의 조사에서 29개 하천 중 하상유지공이 설치안된 13곳, 설치중 3곳, 설치된 13곳 등 호우시 하상유지공 유실과 하상 침식이 우려된다”며 “본류와 지천 하류 합류부 하상유지공 설치 여부를 조사, 침수현상을 모니터링하는 등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성수 기자 joseongsu@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