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모순, 조화로 풀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모순, 조화로 풀어야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7-10-13 00:00
  • 양동길 / 시인양동길 / 시인
우리사회에 만연한 모순이 보입니다. 모순, 다 아는 얘기지만, 다시 한 번 상기해 볼까요? 「초(楚)나라에 방패와 창을 파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자랑스럽게 말했다. "이 방패는 튼튼해서 어떤 물건으로도 뚫을 수 없습니다." 또 창을 자랑하길 "이 창은 날카로워 뚫지 못하는 것이 없습니다"라 했다. 어떤 사람이 물었다. "그대 창으로 그대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 그 사람은 대꾸 하지 못했다. 무릇 뚫리지 않는 방패와 못 뚫을 것이 없는 창은 이 세상에 함께 할 수 없다.(楚人有?盾與矛者, 譽之曰, 吾盾之堅, 物莫能陷也. 又譽其矛曰, 吾矛之利, 於物無不陷也. 或曰, 以子之矛陷子之盾, 何如. 其人弗能應也. 夫不可陷之盾與無不陷之矛, 不可同世而立. / 韓非子 難一)」

논리학에서 두 명제가 동시에 참이거나, 거짓일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말이나 행동, 두 사실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이치에 어긋나는 상황에도 쓰이지요.

명절, 아닌 밤중에 홍두깨같이, 남편 살해범으로 40대 주부가 경찰에 구속되었어요. 한가위 날 애완견이 짖어대자 남편이 몹시 화냈다는군요. 개에게 화냈다고 부부싸움 했답니다. 아내가 휘두른 흉기에 남편이 사망합니다. 근자에 있었던 수많은 사건들이 머리를 스칩니다. 어안이 벙벙합니다.

평소, 우리 사회에 생명존중사상이 고양되고 있어, 무척 고무적이라 생각했어요. 모든 생명체, 소중함이야 두말할 여지가 없지요. 그렇다고 여타 생명은 귀히 여기고, 사람 목숨은 경시한다면 말이 되나요?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사이버 상에 떠도는 우스개 하나 볼까요?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사는 어른 이야기인데요. 무슨 일이 있으면, 며느리는 제일 먼저 아이를 챙기고, 그 다음은 남편, 강아지 순. 마지막이 노인인데 존재감이 거의 없답니다. 개만도 못한 인생이라 한탄하며, 찍소리 못하고 산다는군요. 늙은이, 다름 아닌 바로 내일, 우리 모습인데 말이죠. 앞 사람을 경시함은 자신의 미래를 짓밟는 것입니다. 자학이요, 누워서 침 뱉기지요.

국가도 다를 바 없습니다. 깔아뭉개는 과거에 미래가 짓밟힙니다. 지난 일에 대한 철저한 분석은 환영합니다. 잘못된 일은 통렬히 반성하고 개선해야 되지요. 당연히, 잘 한 일은 계승 발전 시켜야 합니다. 대단한 논리가 필요치 않습니다. 잘 된 일에 보내는 아낌없는 박수가 세상을 바꿉니다. 비판이나 분석이 아니고, 죽이려 달려들면 되나요? 『공총자』라는 책에 공자가 말한 것으로 되어 있지요. 「옛날 재판 하는 사람은, 죄를 범한 그 마음은 미워해도 그 사람을 미워하지는 않았다.(古之?言公, 惡其意 不惡其人 / 孔叢子, 刑論 第四)」'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지요. 생각이 다르다고 사람이 아닌가요? 사람존중, 사람중심 외치며, 의견이 다르다 하여 사람 취급도 하지 않는 행태, 이 보다 더 큰 모순이 있을까 싶습니다.

정책도 매한가지지요. 지난 10월 10일 백운규 산업통상부 장관이 '원전수출전략협의회'를 개최하였답니다. 한국무역보험공사에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무역보험공사,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등을 초대하여, 영국,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원전 수주 지원방안을 제시했다지요. 탈원전, 반핵 등을 주요 정책기조로 내세우며, 원전 수출 지원이라니 이런 모순이 있나요?

그뿐인가요? 말로는 경청한다며, 극구 외면합니다. 협치 주장하며 독불장군입니다. 법치국가, 사법개혁 운운하며 초법적, 초월적 행위를 일삼습니다. 북한 핵무장 철저히 응징한다, 강력 대응 한다 하다가, 800만 달러 지원한다, 대북 사업 재개한다 합니다. 전쟁 부추기는 세력, 적어도 국내엔 없습니다. 어영부영 사드 배치합니다. 경제는 눈 가리고 아웅 입니다. 소득주도성장론, 소득의 실체가 무엇인가요? 잠깐 수치 올리는 것이 정책인가요? 대기업, 중소기업, 자영업이 조화를 이룰 때 경제가 성장합니다. 역할이 다르지요. 그 역할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켜주는 것이 정부 몫입니다. 창의력이 사업가에 비해 조족지혈이요, 피땀 흘려 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기업 조정하려 합니다. 공공분야가 생산성이 있는 곳인가요? 생산성이 극대화 되도록 도와주는 곳이지요. 투자나 확대가 우선될 곳이 아닙니다. 당장 배부르면 된다는 복지정책으론 미래가 없습니다. 강력히 반대하던 대부분 정책, 슬그머니 꽁무니 뺍니다. 모순뿐이 아닙니다. 자주국방이 말로 되나요? 운전대 잡고 싶다고 잡을 수 있나요? 대부분 정책이 엇박자이거나 말의 성찬입니다. 허니문? 이제, 보다 냉철해 질 때라 생각합니다.

최근, 남자축구 대표 팀이 유럽 원정에서 두 번 모두 패해 곤혹을 치르고 있는데요. 특출 난 개성, 많은 경험, 패기 넘치는 선수가 고르게 잘 조화되어야 강팀이 됩니다. 나라도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둘러 조화롭게 바로 잡지 않으면 똑같이 당하거나 반복됩니다. 그것이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5.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1.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2.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3. 공장·연구소·데이터센터 화재에 대전 핵심자산 '흔들'… 3년간 피해액 2178억원
  4. 대전 대덕구, 자살률 '뚜렷한 개선'
  5. 대전 서구, 간호직 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으로 전문성 강화

헤드라인 뉴스


`행정수도 완성` 4대 패키지 법안 국회 문턱 오른다

'행정수도 완성' 4대 패키지 법안 국회 문턱 오른다

2026년 행정수도 골든타임을 앞두고 4대 패키지 법안이 국회 문턱에 오르고 있다. 일명 행정수도완성법으로 통한다. 세종시를 지역구로 둔 무소속 김종민(산자·중기위) 국회의원은 지난 5일 행정수도특별법과 행정수도세종특별시법, 국회전부이전법, 대법원이전법을 패키지로 묶은 '행정수도완성법'을 대표 발의했다. 조국혁신당이 지난 5월,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6월 차례로 발의한 행정수도특별법에 보완 사항을 적시함으로써 '행정수도 세종'의 조기 완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다. 실제 현재 양당의 법안은 현재 국회 상임위에서 병합 심사로 다뤄지고..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이번엔 축구다`… 대전하나시티즌, 8일 전북 현대 상대로 5연승 도전
'이번엔 축구다'… 대전하나시티즌, 8일 전북 현대 상대로 5연승 도전

대전하나시티즌이 K리그1 선두인 전북 현대를 상대로 5연승에 도전한다. 대전은 8일 오후 4시 30분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하나은행 K리그1 2025 36라운드(파이널A 3라운드)에서 전북 현대와 맞대결을 펼친다. 이날 기준 대전은 승점 61점(17승 10무 8패)으로 K리그1 2위에 올라있다. 대전은 포항 스틸러스전 3-1 승리를 시작으로 제주SK(3-1 승), 포항(2-0 승), FC서울(3-1 승) 등을 차례로 잡으며 지금까지 4연승을 달리고 있다. 황선홍 감독은 서울전 승리 이후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3연승이 최고였는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