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모순, 조화로 풀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모순, 조화로 풀어야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7-10-13 00:00
  • 양동길 / 시인양동길 / 시인
우리사회에 만연한 모순이 보입니다. 모순, 다 아는 얘기지만, 다시 한 번 상기해 볼까요? 「초(楚)나라에 방패와 창을 파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자랑스럽게 말했다. "이 방패는 튼튼해서 어떤 물건으로도 뚫을 수 없습니다." 또 창을 자랑하길 "이 창은 날카로워 뚫지 못하는 것이 없습니다"라 했다. 어떤 사람이 물었다. "그대 창으로 그대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 그 사람은 대꾸 하지 못했다. 무릇 뚫리지 않는 방패와 못 뚫을 것이 없는 창은 이 세상에 함께 할 수 없다.(楚人有?盾與矛者, 譽之曰, 吾盾之堅, 物莫能陷也. 又譽其矛曰, 吾矛之利, 於物無不陷也. 或曰, 以子之矛陷子之盾, 何如. 其人弗能應也. 夫不可陷之盾與無不陷之矛, 不可同世而立. / 韓非子 難一)」

논리학에서 두 명제가 동시에 참이거나, 거짓일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말이나 행동, 두 사실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이치에 어긋나는 상황에도 쓰이지요.

명절, 아닌 밤중에 홍두깨같이, 남편 살해범으로 40대 주부가 경찰에 구속되었어요. 한가위 날 애완견이 짖어대자 남편이 몹시 화냈다는군요. 개에게 화냈다고 부부싸움 했답니다. 아내가 휘두른 흉기에 남편이 사망합니다. 근자에 있었던 수많은 사건들이 머리를 스칩니다. 어안이 벙벙합니다.

평소, 우리 사회에 생명존중사상이 고양되고 있어, 무척 고무적이라 생각했어요. 모든 생명체, 소중함이야 두말할 여지가 없지요. 그렇다고 여타 생명은 귀히 여기고, 사람 목숨은 경시한다면 말이 되나요?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사이버 상에 떠도는 우스개 하나 볼까요?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사는 어른 이야기인데요. 무슨 일이 있으면, 며느리는 제일 먼저 아이를 챙기고, 그 다음은 남편, 강아지 순. 마지막이 노인인데 존재감이 거의 없답니다. 개만도 못한 인생이라 한탄하며, 찍소리 못하고 산다는군요. 늙은이, 다름 아닌 바로 내일, 우리 모습인데 말이죠. 앞 사람을 경시함은 자신의 미래를 짓밟는 것입니다. 자학이요, 누워서 침 뱉기지요.

국가도 다를 바 없습니다. 깔아뭉개는 과거에 미래가 짓밟힙니다. 지난 일에 대한 철저한 분석은 환영합니다. 잘못된 일은 통렬히 반성하고 개선해야 되지요. 당연히, 잘 한 일은 계승 발전 시켜야 합니다. 대단한 논리가 필요치 않습니다. 잘 된 일에 보내는 아낌없는 박수가 세상을 바꿉니다. 비판이나 분석이 아니고, 죽이려 달려들면 되나요? 『공총자』라는 책에 공자가 말한 것으로 되어 있지요. 「옛날 재판 하는 사람은, 죄를 범한 그 마음은 미워해도 그 사람을 미워하지는 않았다.(古之?言公, 惡其意 不惡其人 / 孔叢子, 刑論 第四)」'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지요. 생각이 다르다고 사람이 아닌가요? 사람존중, 사람중심 외치며, 의견이 다르다 하여 사람 취급도 하지 않는 행태, 이 보다 더 큰 모순이 있을까 싶습니다.

정책도 매한가지지요. 지난 10월 10일 백운규 산업통상부 장관이 '원전수출전략협의회'를 개최하였답니다. 한국무역보험공사에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무역보험공사,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등을 초대하여, 영국,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원전 수주 지원방안을 제시했다지요. 탈원전, 반핵 등을 주요 정책기조로 내세우며, 원전 수출 지원이라니 이런 모순이 있나요?

그뿐인가요? 말로는 경청한다며, 극구 외면합니다. 협치 주장하며 독불장군입니다. 법치국가, 사법개혁 운운하며 초법적, 초월적 행위를 일삼습니다. 북한 핵무장 철저히 응징한다, 강력 대응 한다 하다가, 800만 달러 지원한다, 대북 사업 재개한다 합니다. 전쟁 부추기는 세력, 적어도 국내엔 없습니다. 어영부영 사드 배치합니다. 경제는 눈 가리고 아웅 입니다. 소득주도성장론, 소득의 실체가 무엇인가요? 잠깐 수치 올리는 것이 정책인가요? 대기업, 중소기업, 자영업이 조화를 이룰 때 경제가 성장합니다. 역할이 다르지요. 그 역할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켜주는 것이 정부 몫입니다. 창의력이 사업가에 비해 조족지혈이요, 피땀 흘려 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기업 조정하려 합니다. 공공분야가 생산성이 있는 곳인가요? 생산성이 극대화 되도록 도와주는 곳이지요. 투자나 확대가 우선될 곳이 아닙니다. 당장 배부르면 된다는 복지정책으론 미래가 없습니다. 강력히 반대하던 대부분 정책, 슬그머니 꽁무니 뺍니다. 모순뿐이 아닙니다. 자주국방이 말로 되나요? 운전대 잡고 싶다고 잡을 수 있나요? 대부분 정책이 엇박자이거나 말의 성찬입니다. 허니문? 이제, 보다 냉철해 질 때라 생각합니다.

최근, 남자축구 대표 팀이 유럽 원정에서 두 번 모두 패해 곤혹을 치르고 있는데요. 특출 난 개성, 많은 경험, 패기 넘치는 선수가 고르게 잘 조화되어야 강팀이 됩니다. 나라도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둘러 조화롭게 바로 잡지 않으면 똑같이 당하거나 반복됩니다. 그것이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2.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3.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4.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5.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1. [대입+]] 2026 수시 충청권 의대 지원자 46% 감소… 역대 최저치
  2. 박재형 세종충남대병원장 취임 "더 큰 도약"
  3. 일본 찾은 김진동 세종상의회장… 한-일 경제계 협력의지 다져
  4. 밝은누리안과병원 이성준 원장, 유럽 백내장굴절수술학회서 임상 연구 발표
  5. 대전 학교폭력 4년 연속 늘어… 2025년 1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헤드라인 뉴스


제4인뱅 인가 무산에 충청 지방은행 설립 `꿈` 뭉개져

제4인뱅 인가 무산에 충청 지방은행 설립 '꿈' 뭉개져

충청권의 오랜 숙원인 지방은행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인가를 받지 못하면서 충청권 기반 금융 생태계 조성에 기대를 품었던 지역민들의 박탈감을 높였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정례회의를 열고 소소뱅크, 소호은행, 포도뱅크, AMZ뱅크 등 4곳의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불허했다. 제4인터넷은행으로 유력하게 거론된 한국소호은행(KSB)은 대전시와 협약을 맺고 대전에 본사를 두고, 지역 특화 사업 발굴 및 정책자금 연계를 통해 지역 금융 정착을 도울 계획이었지만, 결국 정부 인가를 받지 못..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새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RISE 재구조화, AI 인공지능 활용 등 교육 분야 주요 국정과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학문별 대가로 선정된 교수에 대한 정년 제한을 풀고, 최고 수준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 학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교육부는 6대 국정과제를 위한 25개 실천과제(공동주관 1개 국정과제, 3개 실천과제 포함)를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실현해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에 나선다. 학생 1인당 교육비를..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이재명 새 정부가 오는 12월 30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청사 개청식을 예고하면서,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를 위한 동반 플랜 마련을 요구받고 있다. 수년 간 인구 정체와 지역 경제 침체의 늪에 빠진 세종시에 전환점을 가져오고, 정부부처 업무 효율화와 국가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한 후속 대책이 중요해졌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에 따른 산술적 대응은 당장 성평등가족부(280여 명)와 법무부(787명)의 세종시 이전으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 셈법으로 빠져 나가는 공직자를 비슷한 규모로 채워주는 방법이다. 지난 2월 민주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