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지방흡입 후 맞는 설 명절, '덜' 먹고 '더' 움직여라

  • 문화
  • 건강/의료

[건강] 지방흡입 후 맞는 설 명절, '덜' 먹고 '더' 움직여라

■ 전문의 칼럼

  • 승인 2018-02-05 07:42
  • 박전규 기자박전규 기자
황금 개띠 해의 첫 명절, '설날'이 다가왔다. 최근 복부와 허벅지를 지방흡입한 20대 여성 고객은 가족들에게 날씬해진 모습을 보여줄 생각에 설렌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흡입을 했으니 그동안 못 먹었던 음식을 맘껏 먹을 것이라며 한껏 들뜬 목소리로 이야기했다.

하지만 설날 음식의 열량을 보면 마냥 맘 놓고 먹을 수만은 없다. 설날에는 전, 갈비찜 등 평소에 먹지 못했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게 된다. 한 두 개씩 집어 먹는 전통 간식의 열량도 만만치 않다. 약과는 1개 당 135kcal, 식혜는 1컵에 250kcal에 달한다.



지방흡입은 복부, 허벅지, 팔뚝 등에 있는 피하지방을 뽑아 단기간에 사이즈 감소와 체중 감량을 돕는 수술이다. 그래서 지방흡입을 받으면 따로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지방흡입 후 초기 2개월간은 운동과 식단 관리로 다시 지방이 축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방흡입 시에는 피부가 쭈글거리거나 피부의 손상이 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최소한의 지방을 남겨둔다. 이 상태에서 섭취열량이 과잉되면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져 군살이 붙고 라인이 망가질 수 있다.





지방흡입 후 설날 음식은 어떻게 먹어야 할까. 보통 수술 후에는 고단백 저열량 음식을 추천한다. 열량은 적게, 단백질은 충분하게 채워주는 것이 신체 회복과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먼저 떡국은 그 자체로도 고열량 음식이므로 다른 탄수화물 음식과 같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일일 탄수화물 섭취 권장량이 총 열량의 50~60%(약 300~400g)라고 했을 때, 떡국 한 그릇에 밥까지 먹으면 하루 탄수화물 섭취량의 절반을 가뿐히 넘긴다. 특히 가래떡은 정제된 탄수화물로 혈당을 급격히 올리고, 과다 섭취할 경우 체지방으로 전환되므로 적당량만 먹는 것을 권장한다.



식사 전에 나물 등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적당량 먹으면 포만감 유지에 도움이 된다. 떡은 기름에 지져낸 떡이나 소가 들어간 떡보다는 백설기나 시루떡을 고르고, 약과나 식혜와 같은 달달한 명절 간식은 아쉽지만 눈으로만 즐기는 것이 현명하다.

대부분의 명절음식이 기름을 사용하여 튀기거나 볶아서 만들어지므로 이왕이면 닭 가슴살, 너비아니, 생선찜, 두부구이 등 찜이나 조림 등으로 조리된 단백질 음식을 선택하자. 2~3가지의 나물류를 먹는 것도 좋다.



식후에는 바로 후식을 먹거나 앉아서 TV를 보기 보다는 가벼운 산책을 하거나 집안일을 하면서 활동하는 것이 좋다. 지방흡입 후에도 몸을 많이 움직여줘야 부기와 멍이 빨리 가라앉고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실내에 있는다면 온열기구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지방흡입 후 며칠 간은 수술 부위가 얼얼하고, 마치 남의 몸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이 때 전기장판을 켠 채 잠들거나,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해 사용하면 온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전기장판 위에 이불을 깔아 수술 부위에 열기가 직접 닿는 것을 피하고, 타이머를 맞추는 것이 안전하다.

지방흡입은 수술 끝이 곧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이어트 최대의 고비라는 설 연휴에도 식단 관리를 꾸준히 한다면 자신이 꿈꾸던 몸매를 오래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전 글로벌365mc병원 이선호 대표병원장

이선호
대전 글로벌365mc병원 이선호 대표병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4.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5.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1.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2.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3.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4. 천안문화재단, 16~28일까지 그리다방네모 창단 10주년 전시
  5.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헤드라인 뉴스


부석사불상, 한·일서 복제중… 청동불상 기술 견줄 시험대

부석사불상, 한·일서 복제중… 청동불상 기술 견줄 시험대

일본 대마도에 돌려준 서산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일본 현지에서 그리고 국내에서 각각 동일한 모양의 불상을 제작하는 복제에 돌입했다. 일본 측은 대마도박물관에 보관 중인 불상을 관음사로 모셔 신자가 친견할 수 있도록 복제 과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충남도에서는 상처 없는 약탈 이전의 온전한 불상을 제작하는 중으로 1330년 고려시대 불상을 원형에 가깝게 누가 만들 수 있느냐 견주는 시험이 시작됐다. 11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025년 5월 일본 관음사에 돌려준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쓰시마(대마도)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도심 온천관광 랜드마크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첫 삽
도심 온천관광 랜드마크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첫 삽

대전 도심 속 온천관광 랜드마크인 '유성온천 문화체험관'이 첫 삽을 뜬다. 11일 유성구에 따르면 유성온천 문화공원 두드림공연장 일원(봉명동 574-5번지)에 '유성온천 문화체험관' 건립 공사를 오는 15일 착공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온천지구 관광 거점 조성 공모 사업'에 선정된 이후 추진됐으며, 온천 관광 활성화와 지역 대표 축제인 '온천축제'와의 연계를 통해 유성온천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화체험관은 국비 60억 원을 포함한 총 198억 원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2층(연면..

국회 세종의사당 연결하는 `신설 교량` 입지 확정… 2032년 개통
국회 세종의사당 연결하는 '신설 교량' 입지 확정… 2032년 개통

국회 세종의사당과 금강 남측 생활권을 잇는 '금강 횡단 교량'이 2032년 수목원로~국토연구원 앞쪽 도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김효정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9월 11일 오전 10시 e브리핑 방식으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금강 횡단 교량 추가 신설은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완공 시점에 맞춰 원활한 교통 소통의 필수 인프라로 꼽혔다. 국책연구단지 앞 햇무리교를 사이에 두고 이응다리 쪽이냐, 반곡·집현동 방향에 두느냐를 놓고 여러 검토가 이뤄졌다. 햇무리교와 금남교는 현재도 출퇴근 시간대 지·정체 현상을 마주하고 있다. 행복청은 이날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 ‘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 ‘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