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아빠의 독립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아빠의 독립

전유진 편집부 기자

  • 승인 2019-08-01 11:40
  • 신문게재 2019-08-02 18면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전뉴진
다섯 살 터울인 동생에게 아빠로부터 전화가 왔다. 그런데 휴대전화 속 아빠를 아빠 또는 아버지라고 저장하지 않고 감히 이름 석 자 그대로 '전상철'이라 저장한 걸 확인했다. 괘씸한 생각이 들어 이유를 다그쳐 물었다. 그런데 돌아오는 대답이 의외로 대견했다. "더 이상 누군가의 아빠가 아닌 전상철로 살아가는 게 맞잖아. 우리는 다 컸으니 아빠도 아빠 인생 살아야지."

일례로 회사 생활을 하지 않는 할머니는 이름을 불릴 일이 거의 없다. 할머니의 이름은 그저 시청이나 동사무소에서 쓰이는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 가끔 택배 아저씨라도 이름으로 할머니를 찾으면 화들짝 놀라시는 눈치다. 엄마, 아빠도 사실상 마찬가지다. 일상에서 엄마, 아빠는 대부분 그냥 엄마, 아빠 혹은 누구 엄마, 아빠로 불린다. 몇 년 뒤 퇴직이라도 하시면 아예 이름을 잃어버릴 지도 모르는 일이다.



집에서 나와 산지도 10년이 넘었다. 떨어져 산 세월만큼 부모님과 멀어지고 어긋나기만 했다. 가끔 잘해드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전화라도 걸면 이상하게 대화가 삼천포로 센다. 결국 모든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싸움 비스무리하게 끝날 때가 많다. 그러니 통화가 짧아진 지 오래됐고 부모님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어졌다. 그분들이 퇴근 후 무엇을 하며 지내고 있는지, 나이가 들면서 그간 무엇을 얻었고 잃어 버렸는지 잘 모르겠다.

어릴 적 아빠는 늦잠을 자거나 드라마 보는 걸 타박했다. 하지만 요즘 나대신 아빠가 할머니와 드라마를 챙겨본다. 할머니는 아빠가 슬픈 장면에서 눈시울이 붉어지는 모습을 목격했다고도 한다. 하루는 아빠가 아침에 전화했다가 내가 뚱한 목소리로 전화를 받자 "자는데 깨워서 미안하다"며 황급히 전화를 끊었다. 내가 자라는 동안 부모님은 변했다. 그런데 변했다는 게 약해졌다는 의미라서 슬프다.



가끔 부모님 눈이 침침해서 글씨가 잘 안 보인다고 하시기라도 하면 가슴이 철렁한다. 더 늦기 전에 받은 걸 돌려드리고 싶다. 우리를 키우면서 부모님은 너무 많은 걸 포기했다. 내가 혼자 설 수 있도록 도와주셨던 만큼 부모님 스스로를 되찾을 수 있게 도와드리고 싶다. 나라도 알아주고 응원해준다면 조금이나마 힘이 되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나도 오늘부터 엄마, 아빠 대신 이름으로 불러드려야겠다.

돌이켜보니 누군가 내 이름을 다정하게 부르며 다가온다는 건 나름대로 평탄한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는 증거였다. 부모님께 그런 존재감을 되찾아 주고 싶다. 물론 평소 말하는 것처럼 딱딱하게 부르면 안 된다. 귀여움을 약간 섞고 길게 늘여야 한다. 상철씨이이이이이~. 앞으로도 이런 일을 계속 찾아 누군가의 아빠가 아닌 자기 자신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줘야겠다. 전유진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