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한글은 우리 겨레에 새로운 세상 열어줘"

  • 정치/행정
  • 세종

이낙연 총리 "한글은 우리 겨레에 새로운 세상 열어줘"

제573돌 한글날 서울 광화문 기념식서
불필요 외국어 사용 줄이고 세종학당 확대

  • 승인 2019-10-09 12:07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72666075_2512622852156885_6866951806295998464_o
이낙연 국무총리가 제573돌 한글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축식에 참석했다. (사진=국무총리실 제공)
"573년 세종대왕께서 만든 한글은 새로운 세상을 우리 겨레에게 열어주었습니다"

제573돌 한글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한글로 온 겨레가 한 덩이가 되도록 노력하자고 제안했다.



이 총리는 "대한민국이 매우 높은 문자해독률과 교육수준을 자랑하는 것은 쉬운 한글과 뜨거운 교육열이 어우러진 결과"라며 "그런 바탕이 있었기에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고, IT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데도 컴퓨터에 적합한 한글의 과학적 구조가 기여했다"라고 평가했다.

세계에는 약 3000여 개 민족이 7000개 언어를 사용했으나 지금 인류가 쓰는 글자는 스물여덟 가지만 남았다.



이에 이 총리는 "누가, 언제, 어떻게, 왜 만들었는지가 확실한 글자는 한글뿐"이라며 "노벨 문학상 수상자 펄 벅은 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가 1997년에는 4개국, 2692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76개국 32만 9224명으로 늘었다.

이 총리는 "한글 배우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데는 우리 경제의 힘과 대중문화의 매력도 큰 몫을 하고 있다"라며 경제와 문화의 융성에 공헌하고 세계 각처에서 한글을 가르치시는 분께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한글을 올바르게 익히고 사용하는 노력을 강조했다.

이 총리는 "우리는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전문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가야 한다"라며 "정부는 세종학당을 2022년까지 220곳으로 늘려 외국 대학의 한국어 학과와 해외 파견 한국어 교원도 늘리겠다"라고 다짐했다.

또 "선조들께서 한글을 지키고 가꾸려고 흘리신 피와 눈물과 땀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72265143_2512622392156931_7109341412381949952_o
이낙연 국무총리가 제573돌 한글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축식에 참석했다. (사진=국무총리실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