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도서관 좌석 당 학생 수 5.4명… 시험기간 되풀이되는 자리전쟁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학 도서관 좌석 당 학생 수 5.4명… 시험기간 되풀이되는 자리전쟁

'재학생 정원 20% 이상 수용' 규정 미준수 대학 152곳
대전권 대학중 수용률 두자릿수 충남대·한밭대 뿐

  • 승인 2019-10-21 17:37
  • 신문게재 2019-10-22 6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GettyImages-jv111843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학문 연구를 위해 존재하는 대학이지만, 정작 캠퍼스 내에 공부할 공간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시험기간만 되면 되풀이 되는 도서관 자리 부족현상에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이 침해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대학도서관 좌석 수 및 규정 준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370개의 대학 중 152개의 대학이 규정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설립·운영 규정 교사시설'에 따르면 대학도서관은 재학생 정원 20%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좌석을 갖춰야 하며 좌석당 학생 수가 5명 이하여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대학도서관의 좌석당 학생 수는 전국 평균 5.4명으로 드러났다. 국·공립대 도서관 17%, 사립대 도서관 22.6%, 국·공립 전문대 도서관 44.4%, 사립전문대 도서관 67.1%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있다.



대전권 대학의 도서관 열람실 자리 부족 현상도 마찬가지다.

충남대는 약 4200여 석, 한밭대 1500여 석, 한남대 총 862석, 대전대 852석, 배재대 660석, 목원대 653석, 우송대 476석이다. 이 중 두 자릿 수 비율을 보이는 학교는 국립대인 충남대와 한밭대 두 곳 뿐으로, 각각 23.31%, 한밭대는 17.25%다.

사립대들의 수용률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대전대가 9.18%로 사립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목원대가 8.27%로 뒤를 이었다. 배재대는 7.68%였으며 한남대는 7.21%로 분석됐다. 가장 낮은 비율은 우송대로 4.9%를 기록, 전체 학생 5%조차 수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치된 좌석 수도 적은 데다 고질적으로 지적되는 사석화 현상 등으로 인해 자리 부족 현상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도서관 설치 좌석 비율을 의무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좌석당 학생 수를 5명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는 도서관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자리 부족 현상은 시험 기간만 되면 심각해 진다. 대전지역 4년제 대학들은 모두 이번 주 기간에 돌입했다.

사립대 재학생 황 모 씨는 "수강신청 때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 처럼 시험기간 열람실 좌석 신청 전쟁이 일상"이라며 "재학생 5분의 1도 수용하지 못하는 열람실이라면 증축을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법원, 유튜브 후원금 횡령 혐의 40대 여성 선고유예
  2. 캄보디아서 구금 중 송환된 한국인 70%, 충남경찰청 수사 받는다
  3.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5.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1. 천안시,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회복의 장 마련
  2. 천안시의회 이병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등 2건 상임위 통과
  3. 천안동남소방서, 현장대응활동 토론회 개최
  4.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5. 천안시 보건소, '영양플러스 유아 간식 교실' 운영

헤드라인 뉴스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중반전에 돌입한 가운데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시도를 포함한 지역 주요 피감 기관장들이 20일부터 줄줄이 증인대에 오른다. 내년 지방선거 앞 국감에서 기선 제압을 위한 여야 각축전이 금강벨트로 확전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충청권으로선 현안 이슈파이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올 국감에서 조희대 대법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두고 정책이 실종된 채 정쟁을 벌이며 '막말 국감'을 자초하고 있다. 한껏 가팔라진 여야 대..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