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삼척동자도 다아는 사실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삼척동자도 다아는 사실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 승인 2024-04-18 16:56
  • 신문게재 2024-04-19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IT_윤석주 부소장님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말이지만,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라고 하면누구나 다 아는 사실에 대해 비유적으로 사용됐다. 삼척동자란 키가 1m 남짓한 작은 아이를 말하며, 작은 아이가 알 정도라면 '세상 모든 사람이 알고 있다'라는 의미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우리는 삼척동자도 다 아는 과학용어를 접하게 된다. 생명과학분야에 몸담고 있는 필자로서는 실험실에서만 사용되는 용어가 삼척동자도 알만한 상황이 오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어려운 과학용어가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쉽게 이해되고 생활 속에서 제대로 사용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쉽게 사용되는 용어인 만큼 정보를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은 우리 생활에 스며들어 있다.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안전하게 보호해주고 든든하게 받쳐주는 과학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다.

코로나 팬데믹시대를 지나면서 우리는 피씨알(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라는 단어를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게 됐다. 필자가 대학에서 피씨알에 대해 배울 때만 해도 온국민 아니 전인류가 피씨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영어 약자나 단어를 읽어봐도 그렇고 우리말로 해석된 걸 봐도 통 이해가 가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을 듯하다. 피씨알은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핵산의 조각을 증폭시킬 수 있는 기술인데, 생명과학분야에서는 획기적인 발명이었다. 오래전에 개봉된 쥬라기공원(1993)이라는 영화에서도 소개됐는데 화석의 일종인 호박(amber) 속에 갇힌 모기로부터 공룡 혈액속의 핵산을 추출하고 증폭시켜 공룡을 복제한다는 내용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그 이후로도 속편이 줄을 이어 공개됐다. 피씨알 기술을 통해 아주 작은 양의 핵산을 증폭시켜 실험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이전에 불가능했던 실험과 분석이 가능해졌고 피씨알은 생명공학, 질병 진단, 범죄수사분야에 적극 활용됐으며 지금도 여전히 실험실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캐리 멀리스는 1993년에 노벨상을 수상하며 생명과학분야에 큰 획을 긋게 된다. 핵산에서 필요한 부분을 증폭하기 위해 열을 가하고 식히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가 있다. 핵산의 이중가닥을 풀었다가 다시 붙이는 과정에 필요한 효소가 필요했는데 이 과정은 고온과 저온을 반복해 적용해야 했기에 온도변화에 견딜 수 있는 효소여야 했다. 다양한 연구 끝에 뜨거운 온천물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에서 효소를 확보하게 됐다. 이 효소의 발견을 통해 생명공학분야는 큰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뜨거운 온천수 속에서 살던 미생물이 인류에게 이렇게 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도 못했을 것이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와 증식하게 되면, 입안 점막이나 콧속 점막 부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검사를 위해 긴 면봉을 코나 입안에 넣어 불쾌함을 견뎌야만 했다. 이후 피씨알 반응을 통해 바이러스를 특정 지을 수 있는 핵산의 일정 구간을 증폭해 바이러스 양성·음성판정을 내리는 것이다. 아주 작은 양의 핵산을 피씨알 반응을 통해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범죄현장의 증거물 속에서 아주 작은 양의 핵산을 증폭해서 범죄해결의 단서로 사용하는 것은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과학기술은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우리도 과학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4월 21일은 '과학의 날'이다. 이날을 계기로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과학자들의 공로를 격려하고자 한다. 또한 4월 25일부터 28일까지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열린다. 엑스포 시민광장과 과학공원 일대에서 다양한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그 발전상황을 확인하며 미래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기회에 '삼척동자'들의 손을 잡고 과학의 발전과 인류의 미래를 누려보면 어떨까? 과학 용어를 하나하나 들여다보면서 그 속에 담긴 과학자들의 열정과 노고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원활한 학생 출결 관리를 위해 도입한 온라인 출결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거세다. 미흡한 체계 때문에 여전히 교원이 직접 서류를 처리하고 출결과 관련된 학부모 민원까지 받는 상황으로 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학생들의 출결 관련 업무처리는 나이스(NEIS) 온라인 출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교원들이 1차로 학생에게 결석 인정 사유서, 진단서 등 서류를 받고 2차로 나이스(NEIS)온라인 시스템에 교원들이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구조다. 교원들은 학생이 제출한 증빙 서류가 미비..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