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빌(Auroville) 청년, 공동체를 말하다

  • 사람들
  • 뉴스

오로빌(Auroville) 청년, 공동체를 말하다

사단법인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부설 해맑음센터 주관
여행문화센터 산책 후원
18일 오후 7시 대전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 승인 2017-09-14 09:10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인도 남부의 생태공동체 오로빌(Auroville)에서 성장한 청년들이 전하는 대안공동체 이야기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쟁과 시험 대신 자유와 공존을 지향하고 국적과 정치, 종교, 인종의 경계를 초월한 평화와 진보의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다양한 삶의 이야기가 토크쇼 형식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사단법인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부설 해맑음센터(센터장 조정실, 이하 해맑음)가 주관하고 여행문화센터 산책이 후원하는 ‘오로빌(Auroville) 청년, 공동체를 말하다’ 강연이 18일 오후 7시, 대전 여행문화센터 산책(대전 둔산남로 87 라푸마 둔산점 2층)에서 진행된다.

오로빌1
오로빌(Auroville)은 국적과 정치, 종교, 인종의 경계를 넘어 발전적인 조화와 평화 속에서 인류 화합의 실현을 목표로 1968년 남인도 타밀나두 주에 만들어졌고, 전세계 53개국 2700여명이 거주하는 국제 공동체이다.



오로빌에는 영아원에서 고등학교까지 다양한 형태의 학교가 있고, 교육비는 모두 무상이다. 다양한 국적의 청소년들이 어릴 때부터 재미있는 놀이와 문화 활동, 실험과 실습을 통해 무엇이든지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을 키운다.

특히 이번에 강연을 진행하는 두 명의 강사들은 모두 어린 시절 오로빌에서 성장하고 교육받았다. 이들은 오로빌에서 성장하면서 느낀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도 공동체의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토크쇼 형태로 풀어내어 경쟁 중심의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이번 강연에 별도의 참가비는 없고, 사전 예약 없이 누구나 참가가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부설 해맑음센터 (070-7119-4119)에 문의하면 된다.

한편 이번 강연을 주관하는 (사)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부설 해맑음센터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해 있다. 해맑음센터는 교육부에서 지원하고 충남도교육청과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가 업무협약을 맺고 운영하는 학교폭력 피해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학력인정 전국 단위의 기숙형 예술, 심리 치유 기관이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오로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