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요는 삶의 축] 257. 가을 우체국 앞에서

  • 문화
  • 인생 사자성어

[가요는 삶의 축] 257. 가을 우체국 앞에서

[서평] 고택의 문을 열다

  • 승인 2017-09-2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고택문ttt
주근과 야근의 연속근무는 심신을 멍들게 한다. 만성 수면부족은 멍청이도 부족하여 때론 그렇게 벌떡증까지 보이는 경우도 없지 않다. 이러한 폐단과 어떤 '현대병'의 치유 차원에서라도 휴일에 쉬는 건 당연지사다.

일하는 것도 좋지만 치열하게 쉬는, 아니 '노는 것' 역시 현명한 스트레스 해소법이란 생각이다. 다행히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우암 송시열 선생의 유적인 '남간정사'가 있다. 소풍의 개념으로 여길 즐겨 찾는데 '남간정사' 라는 이 고택(古宅)의 바로 앞에는 작은 연못까지 조성돼 있어 고즈넉의 압권이다.

하지만 여길 그렇게나 자주 찾았으되 그저 주마간산(走馬看山)으로 지나치기만 했을 따름이었지 학문적 접근으로서의 고찰은 없었다. 따라서 아쉬움이 적지 않았는데 최근 이와 연관된 전문도서를 접할 수 있어 적이 반가웠다.

[고택의 門을 열다](모두의 책 출간)는 충청권 대표매거진인 '월간 청풍'에서 10년간 글을 써온 다헌(茶軒) 송은애 시인의 발과 땀으로 일궈진 현장 르포 역작(力作)이다. 여기엔 우암 송시열의 유적인 남간정사를 필두로 '동춘당'과 '송자 고택', '대전 숭현서원'에 이어 '추사 고택'과 '진천 신헌 고택'이 오랜 기간의 잠을 멈추고 숨겨졌던 역사까지를 덩달아 기지개 켜게 한다.



이밖에도 이 책에 등장하는 고택은 다음과 같다. ▲청원 과필헌 고택 ▲파평 윤씨 서윤공파 고택 ▲논산 명재(윤증) 고택 ▲이삼 장군 고택 ▲사계(김장생) 고택 ▲이남규 고택 ▲민칠식 가옥 ▲공주 선교사의 집 ▲충남도지사 관사촌(대전) ▲옥천향교 ▲윤황 고택 ▲김씨 고택(국내 유일의 내시 고택)이다.

다음으론 ▲문헌서원 ▲취백정 ▲돈암 서원 ▲함양 개평마을 ▲제월당&오월재 ▲허삼둘가옥 ▲창평 춘강 고정주 고택 ▲장전 이씨 고택 ▲쌍청당 ▲동해 진사댁 ▲봉소루 ▲군산 히로쓰 가옥 ▲서천 이하복 가옥 ▲대전 이사동지구 ▲덕천군파 사옥 ▲사운 고택 ▲운조루 ▲경북 영주 만죽재 고택 ▲충북 옥천 이지당 ▲부여 정계채 가옥 ▲송용억 가옥 ▲논산 종학당 ▲세종시 유계화 가옥…….

그야말로 전국의 모든 고택을 모두 이 한 권에 담고 있다. 개인적 견해이긴 하되 필자는 마치 성냥갑과도 같아서 답답한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을 선호한다. 그 주택이 멋진 고택이라고 한다면 금상첨화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처음에는 대전과 충남, 충북을 돌며 순차적으로 고택을 취재해 글을 쓰기로 계획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전충청권에서는 송시열 선생 이야기를 빼면 더 이상 쓸 스토리가 없을 정도였기에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했다고 한다.

하기야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이 무려(!) 3,000번 이상이나 오를 정도로 당대에 학문적, 정치적으로도 그 위상과 족적이 또렷했다는 우암이었으니 더 말해 무엇하랴만. 다만 작금에 와서는 그 우암 송시열에 걸맞은 인물과 인재가 없어 답답하기 그지없는 시절이다.

따라서 그저 실망만이 물참(밀물이 들어오는 때)으로 가득 채워짐에 속이 몹시 상하다. 우리는 어쩌면 '희망'이란 단 한 방울도 없는 암울한 시기를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듭되는 북한의 핵 도발 협박과 그러나 외세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자주국방의 무위(無爲)에 따른 허탈감 등은 이 같은 푸념의 과녁이다.

어쨌거나 그렇다고 해서 절망의 늪에만 함몰되어선 안 될 일이다. 추석 연휴에 아이들이 집에 온다고 했으니 이 책을 길라잡이 삼아 '전주 한옥마을'이라도 함께 보고 왔음 좋겠다.

저자의 예리한 시선과 천착이 돋보이는, 아울러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문(門)을 과감히 열어젖힌 [고택의 문을 열다]는 자녀의 역사공부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음에 일독을 권한다.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노오란 은행잎들이 바람에 날려가고 ~ 지나는 사람들 같이 저 멀리 가는 걸 보내 ~" 윤도현의 <가을 우체국 앞에서>이다. 떠나가는 여름을 배웅하는 가을 우체국 앞에서 이 책을 읽는 맛도 쏠쏠하다.

홍경석 / <경비원 홍키호테> 저자 & <월간 오늘의 한국> 대전·충청 취재본부장

홍경석-인물-210
홍키호테-2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2.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