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작년 인구 8783명 증가로 '경남 1위'

  • 전국
  • 부산/영남

김해시, 작년 인구 8783명 증가로 '경남 1위'

전국 기초지자체 중 14위..."안정적 주택공급, 일자리 개선 등"

  • 승인 2020-01-14 17:01
  • 최록곤 기자최록곤 기자
제목 없음
김해지역 연도별 인구 및 증감 현황. (사진 = 김해시)
지난해 김해시 인구 증가량이 경남 1위, 전국 228개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

김해시는 통계청 주민등록 인구현황에 의하면, 2019년 말 김해 인구는 작년 53만3672명보다 8783명 증가한 54만2455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 김해지역 인구수가 8789명 증가한 이후, 꾸준한 인구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5191명, 2015년 1625명, 2016년 557명, 2017년 2710명, 2018년 1540명이 증가했다.

지난 한 해 도내 18개 시·군 중 인구가 증가한 지자체는 김해시와 양산시(2120명), 진주시(1347명) 3개 지자체뿐이며, 창원시가 8861명이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특히 인구 증가량 상위 14개 기초지자체 중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울산광역시 북구와 김해시 2곳에 불과했다.

인구 증가량 전국 1위는 경기도 화성시로 5만6674명이 증가했고 경기도 시흥시가 2만4995명, 경기도 용인시가 2만4483명으로 뒤를 이었다.

김해시의 인구 증가 요인을 보면,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 7629명, 출생에서 사망을 뺀 자연증감 1042명 등 모든 요인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만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2018년 39만7477명에서 40만2968명으로 5491명 증가한 반면 유소년(만0~14세) 인구는 8만2442명에서 487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연령은 39.8세로 전국 평균 연령 42.6세 보다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1만433명, 20대 1054명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연령대는 2704명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9개 읍면동별로는 장유3동(9987명), 주촌면(9462명), 진영읍(1614명), 부원동(499명) 순으로 증가했고 내외동은 2617명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시 관계자는 "우리시로 인구가 몰리는 것은 안정적인 주택 공급과 일자리, 복지, 교육 투자,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의 결과물로 주로 부산, 창원, 양산 등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드는 일에 더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최록곤 기자 leonai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4.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5.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1.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2.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3.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4.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5. “따뜻한 겨울 함께 만들어요” 충청우정청 연탄배달 봉사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