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자유(自由)의 대가(代價)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자유(自由)의 대가(代價)

정해황 (대전광역시교원단체총연홥회 회장)

  • 승인 2020-07-07 17:18
  • 수정 2021-06-24 14:18
  • 신문게재 2020-07-08 18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정해황
정해황 대전교총 회장
미국 워싱턴 DC를 거닐다 보면 대형버스에 프리덤 이즈 낫 프리(Freedom is not free)라고 쓰여 있는 것을 자주 발견한다. 무슨 의미일까 생각하면서도 처음에는 별생각 없이 지나쳤다. 미국 워싱턴에 있는 6·25 참전용사 기념공원을 방문하게 되면서 의문이 풀렸다. 공원 내 추모의 벽에 새겨진 타이들이 'FREEDOM IS NOT FREE' 문구라는 사실에 놀랐다.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다. 비문의 첫 문장이 "그들로 하여금 잊혀 지지 말도록 하자. 자유가 결코 공짜가 아니라는 사실을 그들이 세계에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Let them not be forgotten for they have shown the world that freedom is never free.)라는 사실을 알고서 이해하게 되었다. 자유는 공짜가 아니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고 살았던 것 같다. Freedom의 어원은 비너스에 해당하는 사랑의 여신(Fria)에서 나온 말로서 라틴어의 Fr로 시작되는 '자유(Freedom), 친구(Friend), 금요일(Friday), 평화(Friede), 기쁨(Freude)' 등이 어원이 같다고 한다. 무엇인가 공통점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는 인간존재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올해로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이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해서 다른 해와는 달리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한 것 같다. 참전유공자분들이 매우 고령이라는 점과 건강 문제를 고려하여 저녁에 축소해 진행하였다고 한다. 해마다 기념식 때마다 말의 성찬이 이어진다. "조국은 한순간도 당신들을 잊지 않았다"며 "예우를 다해 모실 수 있어 영광"이라고 되풀이한다. 전쟁에 참전한 부모 세대들은 살아 계셔도 너무 연로하시다. 피부에 와 닿도록 예우를 다해 모셔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후세들에게 자유의 소중함을 간직할 것이다. 70주년을 맞이하여 각자가 한반도에 화해와 평화와 자유의 시대정신이 정착되도록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이다.



한국전쟁의 비극을 인물 간의 관계로 형상화해 이데올로기 비판과 문명 비판을 시도한 소설이 장용학의 '원형(圓形)의 전설'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이장'이다. 이장의 부모는 남매지간이다. 근친상간으로 아들을 낳은 이 남매는 '자유'와 '평화'의 상징으로 설정된다. 두 사람의 근친상간은 한반도의 동족상잔을 형상화한 것이다. 제목에서 암시하듯이 전쟁은 원(圓)처럼 시작하는 점도, 끝나는 점도 없이 계속해서 돌고 돈다. 원은 계속 돌고 돌아 어디가 시작점이고 끝나는 점인지를 정확히 알 길이 없다. 명칭부터도 혼란스럽다. '6·25사변' '6·25동란'에서 '한국전쟁'으로 명명했다. 보는 관점에 따라서 논란의 여지가 수없이 존재한다. 내전이었는지 국제전이었는지? 이 전쟁이 북한의 남침 개시로 시작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북침이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고 하니 말문이 막힌다.

자유와 방종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다. 시대조류에 편승하여 과거사는 과거 속에 묻고 잊어버리는 것이 자유의 미덕이라고 착각하는 이가 많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良貨(양화)는 惡貨(악화)를 구축하기 마련이다. 새로운 거짓에 대해 변함없는 진실은 또 싸워야 할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어쩌면 대상이 내부에 있는지도 모른다. 피의 대가로 소중하며 어렵게 얻은 자유가 잘못된 역사 인식으로 인하여 사라질까 두렵다. 다시는 이 땅에서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역사적 사명의식을 가져야 할 때가 지금인 것 같다.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진리가 뇌리에서 떠나질 않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