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다문화신문] 여름철 중국인 음식 '량피'

  • 다문화신문
  • 세종

[세종 다문화신문] 여름철 중국인 음식 '량피'

  • 승인 2020-07-15 16:37
  • 수정 2021-06-06 23:46
  • 신문게재 2020-07-15 1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더위를 이기는 중국량피(凉皮), 어렸을 때 동네에 량피를 파는 아저씨가 있었다. 점심·저녁때마다 나오셔서 맛있는 량피를 트럭에서 파셨던 그 때가 참 정겨웠다. 요즘 같은 무더운 날씨에 중국 사람들은 량피(凉皮)를 먹는다.

한국은 더운 여름철 초복·중복·말복에 삼계탕과 보신탕 등을 허약해진 몸을 위해 보신용으로 먹는다고 합니다. 처음 한국에 오는 사람들은 땀까지 흘려가며 삼계탕과 보신탕을 왜 먹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저 또한 그랬구요. 삼계탕이 닭 뱃속에 찹쌀과 인삼 등을 넣어서 먹는 것임을 알고 보양식으로 자주 찾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여름철 량피(凉皮)을 먹습니다. 량피(凉皮)는 맛도 좋지만 한 그릇이 한국 돈으로 1200원으로 착한 가격입니다.

량피(凉皮)는 북쪽 사람들에게는 만두나 찐빵을 만드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하지만 여러분께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밀가루를 물에 부어 반죽을 만듭니다. 반죽한 후 약 40분간 발효를 시킵니다. 그리고 '면을 씻는다'라는 의미의 시멘(洗面)이라고 합니다. 밀가루의 전분과 단백질을 분리하는 과정입니다. 전분기가 제거된 밀가루 반죽은 모양을 잡아 쪄내면 탄력적인 빵으로 탄생합니다. 이를 멘진(面筋)이라고 합니다.

다양한 야채에 오이, 고수, 숙주나물 등에 소스와 간장, 식초, 고추기름, 다진마늘, 물, 소금, 땅콩, 마장을 넣습니다. 매운 것을 못 먹으면 소스를 만들 때 매운 것과 안 매운 것을 선택해서 만들면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고추기름을 조금 넣어 탄력있는 량피에 부드러워진 멘진을 넣어서 같이 비벼 먹는 음식입니다.

1990년대 중국 회사에 다닐 때 점심밥으로 먹었던 량피는 포장마차에서 1분 만에 빨리 만들어주고, 특히 콩물소스와 찐빵하고 같이 먹어도 가격이 저렴해서 즐겨 먹었습니다. 맛난 량피도 먹고 즐거웠던 그 시절이 생각납니다. 나는 량피 냄새를 맡으러 다음에 또 중국에 갈 것입니다.

여러분도 중국에 놀러 가면 착한 가격으로 맛있는 량피를 꼭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우효총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