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 "우리 아이가 의자가 되었어요" 나무가 사라진 날

  • 문화
  • 문화/출판

[새책] "우리 아이가 의자가 되었어요" 나무가 사라진 날

나무가 사라진 날│신민재 글·그림 │길벗어린이

  • 승인 2020-10-24 07:46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8955825730_1
나무가 사라진 날

신민재 글·그림 │길벗어린이

집 앞 공원 숲에서 노는 걸 좋아하는 나무. 집으로 돌아오자 숙제를 하라는 엄마의 잔소리를 듣게 되고.

무겁게 연필을 다시 들지만 투둑, 툭 떨어지는 눈물을 참을 수가 없었지요.



한 시간쯤 지났을까, 나무는 다리가 점점 딱딱해지는 것 같았어요. 나무가 다리를 보려고 고개를 돌리고 등을 구부리는데, 등이 뻣뻣해져 구부러지지 않는데.

그렇게 나무는 의자가 되었어요.

방으로 들어온 엄마는 사라진 나무를 찾습니다. 그러다 낯선 의자 하나를 발견하고는 이 의자가 나무임을 알아챕니다.

엄마는 의자를 들고 병원, 가구점 등을 찾아다니지만, 의자가 나무라는 것을 믿어주지 않아요.

엄마는 의자를 안고 무작정 걷다 아이들이 떠드는 집 앞 작은 공원에 도착합니다. 나무의 친구들은 의자가 된 나무와 함께 놀고 비가 오자 집으로 돌아갑니다.

엄마와 의자만이 남은 공원에 밤이 오고, 두 사람은 밤하늘의 별을 보게 되죠.

엄마는 "나무야, 우리 같이 별을 바라본 게 너무 오랜만이야, 미안해"라고 이야기해요.

과연 나무는 의자에서 사람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요?

신민재 작가는 "책상에 억지로 앉아 있을 때 분하고 억울한 마음에 무언가로 변해버리고 싶을 때가 있었어요. 그때의 기억으로 그림책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가 의자가 된다는 설정은 동화적 판타지 속에서 가능한 이야기지만, 공부보다 놀고 싶은 마음이 투영된 아이들의 상상력으로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로 펼쳐진다.

또 나무의 친구들이 의자로 변한 나무와 함께 노는 모습은 사물로 변한 친구의 모습을 거부하지 않는다. 나무가 의자가 되었어도 내 친구라는 전제는 몽글몽글해지는 순수했던 동심을 떠올리게 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2.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5. 건양대병원, 차세대 보행 재활 로봇 활용해 스스로 걷기에 도움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