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난 총각김치, 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난 총각김치, 넌?

  • 승인 2020-12-02 10:30
  • 신문게재 2020-12-0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55108493
게티이미지 제공
그때만 되면 늘 추웠다. 간혹 눈발도 날렸다.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송이를 쫓아다니는 아이들과 강아지만 신났다. 어른들은 손이 열 개라도 모자랄 판이다. 일년 중 명절만큼 큰 대사를 치르는 시기다. 어린 내 눈엔 썩은 생선인데 엄마는 그걸 사골 고듯 푹푹 끓였다. 왜 썩은 생선을 먹어야 하는지 나로선 이해가 안됐다. 황새기젓(황석어젓)이란다. 엄마는 그걸 넣어야 김치가 맛있다고 했다. 황석어젓 끓는 냄새는 하루종일 온 집안에 진동했다. 보기엔 역겹지만 냄새는 그리 싫지 않았다. 구수한 냄새가 입맛을 다시게 할 정도였으니까. 엄마는 컴컴한 새벽에 일어나 얼음장 같은 물에 전날 소금을 뿌려 절여 놓은 배추를 씻었다. 아침에 졸린 눈을 비비며 마당에 나가보면 머리를 감고 참빗으로 곱게 빗은 것처럼 숨죽은 배추가 채반에 산처럼 쌓여 있었다. 김장하는 날이다.

그 시절 시골에선 김장김치를 짠지라고 불렀다. 짜서 짠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지금은 아주 좋아하지만 어릴 적 난 생김치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김칫국 정도나 겨우 먹을까. 짠 건 딱 질색이었다. 30대 중반까지도 푹 익으면 그때서야 찌개나 국을 끓여 먹곤 했다. 짜지 않은 삼삼한 김치를 먹기 전까지는 말이다. 유년 시절, 한 겨울 깊은 밤에 먹었던 동치미는 맛의 추억이다. 겨울이라 저녁을 일찍 먹은 탓에 배가 출출하기 마련이지만 딱히 먹을 건 없었다. 그러면 엄마는 동치미 무를 길쭉길쭉하게 썰어 큰 대접에 국물과 함께 가져온다. 식구마다 하나씩 들고 먹으면서 얼음이 뜬 새콤한 국물을 마시면 잠이 확 달아난다. 어떤 날엔 장독대 옹기에 쟁여놓은 홍시도 먹는다. 추운 겨울 최고의 군것질거리다. 문명화 되지 않은 겨울밤은 참 길었다.

중 3때 방영웅의 『분례기』를 처음 읽었다. 1967년 '창작과 비평'에 연재된 장편소설인데 그 후로 열 번도 넘게 읽은 것 같다. 소설의 무대는 충남 예산으로 60년대 가난한 농촌 사람들의 삶을 질펀하게 그렸다. 걸쭉한 충청도 말과 등장인물들의 개성있는 성격, 그 중 노름꾼 석 서방의 딸로 뒷간에서 태어난 '똥례(糞禮)'의 불행한 삶이 강렬했다. 똥례는 허랑방탕한 아버지와 어머니 대신 밥 하고 산에 나무하러 다니는 게 일이다. 찢어지게 가난해서 남들 다하는 김장조차 못한 똥례네는 봄에 이웃 사람들에게 시어 터진 김치를 얻어다 먹는다. 밥상에 둘러앉아 신 김치를 쭉쭉 찢어 밥에 얹어 먹는 똥례네 식구들의 볼이 미어터진다. 내 입안에도 침이 고인다.

김치는 밥을 먹는 한국인에게 없어선 안 되는 음식이다. 돈가스 먹을 때도 김치가 나온다. 밥과 함께. 한국인의 유전자엔 김치에 대한 맛의 기억이 각인돼 있다. 지금 내가 먹는 음식들의 기원을 생각하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어떻게 배추, 무라는 풀을(처음엔 그냥 풀이었겠지) 요리해 먹게 됐을까. 경험만큼 큰 선생도 없다. 김치는 재료가 다양하다. 굴, 생태, 낙지, 생새우, 황석어젓, 조기젓 등 지역 산물이 반영된다. 종류는 또 어떤가. 갓김치는 20여년 전 여수 향일암 아래 슈퍼에서 컵라면을 먹으면서 맛 봤다. 톡 쏘는 맛과 향이 독특했다. 이젠 여수 하면 갓김치가 떠오른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김치는 총각김치다. 알맞게 익은 총각김치를 뜨거운 밥과 먹으면 꿀맛이다. 라면 먹을 때도 최고다. 어느 날 친구가 총각김치가 왜 총각김치로 불리는지 아느냐고 물었다. 생각해보니 왜 '총각'일까 궁금했다. 친구는 총각의 은밀한 부위와 모양이 닮아서라고 했다. 그으래? 인간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건 리비도라고 주장한 프로이트가 무릎을 탁 칠 법하지 않은가. 총각김치를 먹을 때 아주 가끔 친구의 말이 생각나 키득거린다. 새곰새곰한 총각김치를 앙 베어 먹는다. 아삭!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밀양시 홍보대사, 활동 저조 논란
  2. 대전에서 날아오른 한화 이글스…19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
  3. [2025 국감] IITP 매점 특혜? 과기연전 노조 "최수진 의원 허위사실, 규탄"
  4. 7-1로 PO 주도권 챙긴 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할까
  5. [2025 국감] "출연연 이직 대책 마련 시급… 연봉보단 정년 문제"
  1. 충남도-나라현, 교류·협력 강화한다… 공동선언
  2. 대전사랑메세나, 대신증권 박귀현 이사와 함께한 '주식 기초 세미나' 및 기부 나눔
  3. '내 생의 최고의 선물, 특별한 하루'
  4. 배움의 즐거움, 꽃길 위에서 피어나다
  5. 유성장복, 잠실 ‘월드웹툰페스티벌’ 통한 1:1 잡매칭 모색

헤드라인 뉴스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폭력 등으로 현행범 체포되자 경찰관을 폭행하고 인치된 후 대소변을 던져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중국 국적 A(46)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2025년 8월 25일 동남구 신부동에서 112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게 "때려도 돼요?"라고 말하며 발등을 밟고 복부를 수회 가격하는 등 정당한 직무집행을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그는 현행범으로 체포돼 동남경찰서 형사과 인치실에서 소란을 피우던 중 경찰관을 향해 신발을 던지거나 소파 위에서 대변을 본 뒤..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천안동남경찰서(서장 송해영)는 최근 성착취 목적 대화죄 미수범 처벌규정 신설에 따라 아동·청소년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 달 간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경찰관이 아동으로 위장해 피의자에게 접근·대화 시 '아동 성착취 결과' 발생 가능성이 없어 처벌하지 못했으나 이번 개정으로 미수범 처벌이 가능해 현장에서 위장 수사를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아울러 온라인상 행위에 제한되었던 처벌 범위가 오프라인으로 확대돼 직접 만나 성착취 목적으로 대화하는 오..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5단독은 억대의 '짝퉁 명품'을 판매해 상표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A(39)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B(42)씨에게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들은 2023년 위조상품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아미(AMI) 등 위조상품 총 933개를 판매하면서 1억1754만원(정품가액 합계 32억170만원) 상당을 판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류봉근 부장판사는 "판시 범행은 정당한 상표권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시장경제질서를 교란하는 범죄로 그 죄책이 가볍지 않다"며 "피고인이 상표권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