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래] 권성희의 '나성에 가면'

  • 문화
  • 문화 일반

[나의 노래] 권성희의 '나성에 가면'

  • 승인 2021-02-24 10:58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220426685
게티이미지 제공
나성에 가면 편지를 띄우란다. 사랑의 얘기를 담뿍 담은 편지 말이다. 그 곳의 소식을 듣고 싶은 거다. 하늘은 푸른 지 그대의 마음은 어떤지, 기분은 좋은지. 즐거워도 외로워도 항상 나를 생각해 달란다. 그대와 내가 지낸 추억을 잊지 말아달란다. 이런 잔인한 사람이 있나. 나성으로 떠난 옛 연인에게 날 잊지 말라니. 이런 고문이 없다. 어장 관리인가. 헤어진 연인에게 가장 잔인한 스타일이다. 노래 '나성에 가면'은 경쾌한 리듬으로 계속 따라 부르게 된다. 가수 권성희의 풍부한 성량과 이국적인 얼굴이 낭만적인 나성의 모습이 떠오른다. 아, 그 유명한 길옥윤이 만들었다. '나성'은 'LA'의 다른 이름이다. 예전엔 외국 지명을 다 한자로 바꿔 불렀다. 필리핀은 비율빈으로 프랑스는 불란서로. LA는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이다.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인도 많다. 그래서 코리아타운, 차이나타운이 생겼다. 개발도상국 시대 한국인에게 미국은 꿈의 나라였다. 아메리칸 드림을 좇아 머나먼 미국 땅에 발을 들였다. 백인들이 주도권을 잡은 아메리카에서 세탁소도 하고 백인들의 손톱도 다듬고 식당에서 밤 늦게까지 접시를 닦았다. 죽도록 일해서 성공한 재미교포는 한국인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다. 연예인들도 재미교포와 결혼하는 걸 자랑으로 삼았다.

풍족한 물자와 백인들의 땅에서 자수성가한 동양인은 근사해 보였다. 혀를 과하게 굴리며 영어를 씨부렁거리는 삶은 뭔가 달라 보였던 것이다. 피부와 이목구비는 동양인이지만 미국물 먹은 교포들은 어쩐지 백인같았으니까. 내가 대학교 다닐 때 그러니까 80년대 중반 과 친구의 언니도 미국으로 이민갔다. 세탁소를 하면 돈도 벌었다고 했다. 미국은 열심히 일하면 그만한 보상이 따르니까. 그 후 큰 슈퍼를 하면서 수영장 딸린 멋진 집에서 여유있게 살았다. 그런데 친구의 언니는 뻔질나게 고국 한국에 드나들었다. 넉넉한 삶이었지만 마음은 허전했던 모양이다. 가족이 그립고 된장찌개, 김치찌개, 고향의 하늘이 그리운 것이다. 또 인종차별도 견디기 힘들었들 터. 그러니 나이를 먹을수록 고향 생각이 새록새록 나겠지. 데자뷔다. 동남아 노동자들. 한국에서 온갖 차별과 부당함을 견디며 죽어라 일하는 그 사람들. 성공의 이름은 뭘까. 버티고 견디는 삶의 다름 이름일까. 성공은 한낱 신기루인 것 같다. 잡으려 하면 사라지는 허상. 아직도 우리에게 미국은 좋은 조건을 갖춘 완벽한 애인 같은 건가? '나성에 가면 소식을 전해줘요 예쁜 차를 타고 행복을 찾아요 당신과 함께 있다 하면은 얼마나 좋을까 어울릴거야 어디를 가도 반짝거릴텐데~' 영화 '수상한 그녀'에서 심은경도 멋지게 불렀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