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1강 퇴계난택(退溪難擇)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1강 퇴계난택(退溪難擇)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3-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61강 퇴계난택(退溪難擇) : 퇴계(退溪) 선생의 어려운 선택

글 자 : 退(물러날 퇴) 溪(시내 계) 難(어려울 난) 擇(가릴 택)

비 유 : 엄격한 윤리, 도덕보다 인간의 따뜻한 정(情)이 더 진함의 비유



퇴계(退溪)선생의 둘째 아들 채(寀)는 태어난 지 한 달 만에 어머니 김해 허씨를 여의고 주로 외가(의령)에서 성장하면서 건강이 나빠 퇴계가 단양군수(丹陽郡守)로 있던 때(48세 2월)에 정혼만 해놓은 상태에서 21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채가 세상을 떠난 그 이듬해 풍기군수(豊基郡守)로 전임한 퇴계는 직책을 사임하고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고 있을 때, 둘째 며느리는 자식도 없는 과부가 되었다.



선생은 홀로된 며느리가 걱정이었다. '남편도 자식도 없는 젊은 며느리가 어떻게 긴 세월을 홀로 보낼까?' 그리고 혹여 무슨 일이 생기면 자기 집이나 사돈집 모두에게 누(累)가 될 것이기에, 한밤중이 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집안을 순찰하곤 했다. 어느 날 밤, 집안을 둘러보던 선생은 며느리의 방으로부터 '소곤소곤' 이야기하는 소리가 새어 나오는 것을 듣게 되었다.

순간 선생은 얼어붙는 것 같았다. 점잖은 선비로서는 차마 할 수 없는 일이지만 며느리의 방을 엿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젊은 며느리가 술상을 차려 놓고 짚으로 만든 선비 모양의 인형과 마주 앉아 있는 것이었다. 인형은 바로 남편의 모습이었다.

인형 앞에 잔에 술을 가득 채운 며느리는 말했다. "여보, 한 잔 잡수세요." 그리고는 인형을 향해 한참 동안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흐느끼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남편의 인형을 만들어 대화를 나누는 며느리… 한밤중에 잠 못 이루고 흐느끼는 며느리… 선생은 깊이 생각했다.

과연 '윤리(倫理)는 무엇이고 도덕(道德)은 무엇인가! 저 젊은 며느리를 수절시켜야 하다니… 저 아이를 윤리 도덕의 관습으로 묶어 수절시키는 것은 너무도 가혹하다. 인간의 고통을 몰라주는 이 짓이야말로 윤리도 아니고 도덕도 아니다. 여기에 인간이 구속되어서는 안 된다. 저 아이를 자유롭게 풀어주어야 한다.'

이튿날 선생은 사돈을 불러 결론만 말했다. "자네, 딸을 데려가게." 사돈은 "내 딸이 무엇을 잘못했는가?" 선생은 "잘못한 것 없네. 무조건 데려가게." 친구이면서 사돈 관계였던 두 사람이기에 서로가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할 까닭이 없었다.

그러나 딸을 데리고 가면 두 사람의 친구 사이마저 절연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생의 사돈도 쉽게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안 되네. 양반 가문에서 이 무슨 일인가?". 선생이 "나는 할 말이 없네. 자네 딸이 내 며느리로서는 참으로 부족함이 없는 아이지만 어쩔 수 없네. 데리고 가게." 이렇게 퇴계(退溪) 선생은 사돈과 절연하고 며느리를 보냈다.

그리고 몇 년 후 선생은 한양으로 올라가다가 조용하고 평화스러운 동네를 지나가게 되었다. 마침 날도 저물기 시작했으므로 아담한 민가 집을 택하여 하룻밤을 머물렀다.

그런데 저녁상을 받아보니 반찬 하나하나가 선생이 좋아하는 것뿐이었다. 더욱이 간까지 선생의 입맛에 딱 맞아 아주 맛있게 먹었다. '이 집 주인도 나와 입맛이 비슷한가 보다.' 이튿날 아침상도 마찬가지였다. 반찬의 종류는 어제 저녁과 달랐지만 여전히 입맛에 딱 맞는 음식들만 올라온 것이다. 나의 식성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면 어떻게 이토록 음식들이 입에 맞을까?

'혹시 며느리가 이 집에 사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하며 아침 식사를 마치고 막 떠나가려는데 집주인이 버선 두 켤레를 가지고 와서 '한양 가시는 길에 신으시라'며 주었다. 신어보니 선생의 발에 꼭 맞았다. '아! 며느리가 이 집에 와서 사는구나.' 선생은 확신을 하게 되었다.

집안을 보나 주인의 마음씨를 보나 내 며느리가 고생은 하지 않고 살겠구나. 만나보고 싶은 마음도 컸지만 짐작만 하며 대문을 나서는데 한 여인이 구석에 숨어 퇴계선생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었다.

퇴계선생은 이렇게 며느리를 개가(改嫁)시켰다. 이 일을 놓고 유가(儒家)의 한 편에서는 오늘날까지 선생을 비판하고 있다. "선비의 법도를 지키지 못한 사람이다. 윤리를 무시한 사람이다"라는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한 편에서는 정반대로 퇴계선생을 칭송하고 있다. "선생이야말로 윤리와 도덕을 올바로 지킬 줄 아는 분이시다. 윤리를 깨뜨리면서까지 윤리를 지키셨다."

답은 각자의 몫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 어느 것이 맞다고 단정 지울 수는 없다. 그러나 상식과 양심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맞는 답일 것이다. 퇴계선생은 엄격한 규범보다 따뜻한 인간미를 택하였다. 당시로는 매우 어려운 선택이었다.

옛 연구집(聯句輯)에

金剛山高松下立(금강산고송하립) : 금강산이 높아도 소나무 아래 서있고

漢江水深砂上流(한강수심사상류) : 한강물이 깊어도 모래 위 에서 흐르네

라는 문장이 있다.

윤리가 아무리 엄격해도 상식을 넘을 수 있겠는가? 그리고 도덕이 아무리 엄중해도 양심을 범할 수 있겠는가?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4.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