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신세계 Art & Science 27일 그랜드 오픈… 쇼핑·과학·문화·예술 다~ 있다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27일 그랜드 오픈… 쇼핑·과학·문화·예술 다~ 있다

현지 법인 설립과 지역민 우선 채용 등 중부권 경제 활성화 초점 맞춰
193m 대전 최고 아트 전망대, 과학관, 갤러리, 아쿠아리움 볼거리 풍성

  • 승인 2021-08-25 15:54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중부권 최대의 백화점인 '대전신세계 Art & Science'가 27일 문을 연다.

신세계의 열세 번째 백화점으로, 현지 법인 설립과 지역민 우선 채용, 로컬 브랜드 유치 등 중부권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경영 정책을 앞세웠고, 193m 대전 최고 높이의 아트 전망대와 아쿠아리움, 500여 개 브랜드까지 갖췄다.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는 연면적 28만4224㎡로 전국 신세계백화점 가운데 세 번째로 큰 매머드급 점포다. 대전역과는 6.7㎞, 세종과는 30분의 거리로 최적의 입지 조건도 자랑한다. 또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인접한 엑스포과학공원역도 계획돼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성도 좋다.

신세계는 지리적 조건과 매머드급 점포의 장점을 살려 중부권뿐 아니라 전국에서 찾는 관광과 쇼핑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네이밍부터 타 지역과 다르다.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는 과학과 문화, 예술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공간이 특징이다. KAIST 과학관(넥스페리움), 신세계 갤러리, 사립과학관, 사이언스 홀 등 과학의 도시에 걸맞은 볼거리도 풍성하게 갖췄다.

신세계 층별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층별 안내도.
193m 타워동 전망대는 대전 도심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랜드마크로 등극해 쇼핑 중심의 유통시설을 넘었다는 평가다. 타워동은 미세먼지 농도를 알려주는 기능과 계절별 자연을 표현한 영상으로 경관 조명에서도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프리미엄 호텔 오노마, 대전·충청 최초 실내 스포츠 테마파크 스포츠 몬스터, 갑천 조망을 품은 옥상정원도 대전신세계 Art & Science의 품격을 높여줄 전망이다.

뉴욕 허드슨 맨해튼 타워와 롯본기 힐즈를 설계한 KPF가 외관 건축 설계를 맡았고, 뉴욕 노이에 하우스와 마카오 MGM 호텔을 디자인한 록웰을 비롯해 로만 윌리엄스, 제프리 허치슨 등 세계적 건설사가 인테리어 설계에 참여했다.

대전에서 쉽게 만나기 어려웠던 주요 브랜드도 상륙한다. 보테가보네타와 펜디, 셀린느, 브루넬로쿠치넬리, 톰포드, 피아제, 쇼메 등이 입점한다.

신세계백화점 차정호 사장은 "신세계가 5년 만에 선보이는 점포다. 신세계의 DNA가 집약된 문화, 예술, 과학 콘텐츠를 앞세워 중부권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는 25~26일 프리 오픈 후 27일 그랜드 오픈 예정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2.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