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 4인실 4개국 환자들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 4인실 4개국 환자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외과 문윤수 교수

  • 승인 2022-06-02 16:37
  • 신문게재 2022-06-03 19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문윤수 을지대병원 권역외상센터 교수
문윤수 교수
십여 년 전 바닷가 인근 보건의료원에서 공중보건의로 근무하던 시절, 겨울이었다. 거친 바닷바람을 맞으며 뱃일하는 파키스탄 청년이 한국인 동료 손에 이끌려 왔다. 꽁꽁 언 손을 보여주며 외국인 청년이 너무 아파 일을 제대로 못 한다는 선장의 구박을 보다 못해 동료가 병원으로 데려온 것이었다. 누가 봐도 딱 동상에 걸려 손이 퉁퉁 부어오른 것인데, 선장은 일을 제대로 못 한다고 구박만 했단다. 진료하며 이야기를 듣는 것만으로 너무 안타깝지만, 동상만으로는 입원이 불가능했다. 대신 '추운 바다에서 장시간 일한 탓에 좌측 손에 동상이 의심됩니다. 동상이 회복될 때까지 당분간 바다에서 일하지 않고 휴식이 필요합니다'라는 소견서를 적어 선장에게 보여주라고 하고, 약간의 약을 처방해주었다. 10년도 넘은 기억이지만 그 파키스탄의 청년이 감사하다고 인사하며 떠난 모습이 생생하다.

지난여름 우여곡절 끝에 열린 도쿄올림픽 중계방송을 온 가족이 시청하며 응원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예선전부터 땀 흘리며 긴장하는 선수들의 모습을 TV 중계로 보고 있지만, 마치 현장에서 함께하듯 긴장감은 함께한다. 준결승전, 4강전부터는 긴장감이 절정으로 간다. 심박동수가 최대치로 올라가면서, 동시에 어디선가 숨겨져 있는 나의 애국심이 터져 나와 마음속 태극기를 휘날리고 있다.

마치 4강 대진표 같은 국기가 그려진 모습이 여기, 병실에 있다. 네팔, 몽골,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국기가 나란히 있는 것 같은, 각기 다른 네 개의 나라 사람들의 이름이 병실 입구에 쓰여있다. 담당 간호사가 병실에 들어가며 한 명 한 명 이름을 부른다. 다친 부위도 다양하다. 가슴에 피가 나 관을 꽂은 환자, 머리뼈가 깨지고 머리 안에 피가 나는 환자, 팔다리가 부러지고 신경이 끊어진 환자, 허리뼈와 다리뼈가 부러진 환자… 마치 복싱 4강전 대진표 같은 모습의 병실이다. 사실 당연히 외상 병동에는 있음 직한 환자들의 구성이다. 다만, 이들의 이름을 보면 고개를 한번 더 갸우뚱하게 된다. 'O칠, O펜, OO찬, OO성'. 이름표 앞에 국적을 나타내는 국기를 표기한다면 딱 4강전 대진표와 같을 것이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숫자는 2021년 말 기준 210여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나라도 한민족의 나라가 아닌, 미국과 같은 다민족 나라라고 불러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가 농촌 일손 부족을 해결해주고, 식당에 동남아시아에서 온 청년들이 서빙 하는 모습이 이제는 자연스럽다. 하지만 국내 거주 외국인을 우리가 하기 힘든 일을 대신 해주는 인력으로 생각하지 말고 우리와 동행하는 사람으로 인식해야 한다. 다시 그 병실에 있는 환자들 차트를 보니 옆에 붙어있는 표시가 네 환자 모두 산재보험, 자동차보험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사고의 원인은 다들 공사장, 오토바이 등등으로 쓰여 있다. 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힘들어서 꺼리는, 혹은 남들보다 높은 곳에 올라가서 일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아마도 불과 몇십 년 전 우리네 아버지, 할아버지가 독일 어느 병원 병실에 지금처럼 올림픽 4강 대진표같이 서로 다른 4개 나라 사람들과 아픔 그리고 고통 속에 있었을 것이다. 그 시절 이름 모를 병원 병실 안에서 'O Kim', 'O Lee'라는 이름으로 치료받았을 것이다. 영화 국제시장을 보면 누구네 아들이 이역만리 독일의 탄광 속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수십 년 전 우리네 할아버지들이 파독 광부로 머나먼 이국 탄광 속 석탄 바위에 깔려 허무하게 생을 마감한 것을 우리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시대가 바뀌었지만 우리네 관심이 적은 곳에서 사고는 계속 반복되고 있다. 잊을 듯하면 '외국인 노동자 사고'라는 제목의 사회면 기사를 쉽게 볼 수 있다. 이 사회가 이렇게 굴러가는 이상 없어질 수 없는 사고이며 신문 기사 제목인 것이다.

한민족, 다민족이 아닌 함께하는 동료로 생각하며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우리 함께 노력해야 한다. 지금도 권역외상센터 의료진 모두는 4인실, 4개국 환자들 모두 최선을 다해 치료하고 있다./대전을지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외과 문윤수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1.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4.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5.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