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 도시안전, 전문가를 양성하자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 도시안전, 전문가를 양성하자

신동호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

  • 승인 2022-11-01 17:19
  • 신문게재 2022-11-02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21101090538
신동호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
우리나라는 지난 60년 동안 크게 성장했다.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급속한 성장이었다. 자랑스러운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성장이 이제 우리에게 많은 대가를 요구하고 있다. 불완전하고 불안하게 이루어졌던 것들이 대형사고로 나타나고 있다. 삼풍백화점 붕괴, 세월호 침몰, 광주 아파트 붕괴 등 다시 들추어내고 싶지 않은 사건들이 있었다. 불행히도 그런 사고가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그러한 사고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가?

자연재해와 같이 피하기 어려운 재난도 있다. 세계 도처에서 유사한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가 당하는 사고의 배후를 보면 어처구니없는 일도 많다. 안전을 중시하지 않는 문화, '빨리빨리' 문화가 사고의 원천이 되는 경우가 많다. '설마' 하면서 요행을 기대하고, 사람의 생명보다 '성장,'과 '성취'를 중히 여기는 문화가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달라져야 한다. 생명에 대한 우리의 의식 수준이 개선돼야 한다. 우리나라의 위상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사람의 '생명'은 다른 어떤 사회적 가치보다 중히 다뤄져야 한다는 문화가 형성돼야 한다.

우리나라는 이제 세계 10대 경제대국이 됐다. 유사 이래 우리 민족의 국제적 위상이 오늘 만큼에 다다른 적이 없었다. 세계인들이 우리를 바라보고 있다. 국제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정보화시대를 맞이해 세계 여러 나라의 국민들이 이제 하나의 지구촌에 살고 있다.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 보듯이 국내 행사에 외국인들이 동참하고 있다. 그래서 대형사고는 외국 사람들에게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의 부끄러운 사고소식은 거의 동시적으로 세계적인 뉴스가 되고 있다. 이제 이러한 변화에 맞게 대책도 강구돼야 한다. 안전에 대한 의식이 바뀌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은 여러 각도에서 준비돼야 한다. 사전대책도 필요하고 사후대책도 필요하다. 그에 더해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개발이다. 자주 발생하는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할 수 있는 지식, 그러한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전문지식을 군 경력자에게 의존하기도 했다. 민방위 훈련으로 재난에 대비하려고 했던 예가 있다. 민간 전문가로 화재나 재난에 대비하는 소방방재 전문가가 있는가 하면, 건설이나 토목에 관해서는 건축설계사가 안전에 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스나 코로나와 같은 국제적 전염병에 관해서는 의사와 같은 전문가가 동원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문별 전문가로 감당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전체를 보는 시각이다. 그러한 분야별 전문가들이 사고 후에 동원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안전에 관한 전문가, 전체를 종합적으로 내다볼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비상기획가라고 하는 것이다. 비상기획가는 각종 행사 및 토목 등 건설사업의 기획단계에 참여해 안전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비상기획가를 제도화해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기도 하고, 사전예방 및 사후 대처를 위한 학교 교육, 시민교육도 실시해야 한다. 그래서 국민 대다수가 안전에 대해서만은 준(準)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상기획가를 양성할 수 있는 전문교육과정도 마련해야 한다. 선진국들은 이미 그러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필자는 1990년대 초 캐나다 UBC 대학이 석사학위 수준의 비상기획가(Emergency Planner) 양성과정을 설립하는 것을 보았다. 미국 LA에서 지진이 일어난 뒤였다. 우리도 대학에 전기안전공학과, 소방방재학과 등이 이미 설립돼 있다. 그러나 그에 더해 안전과 비상기획에 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적재적소에 투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한 교육을 통해 배출되는 전문가가 사고와 재난의 가능성이 있는 곳에 투입되어 사전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대비하게 함으로써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게 해야 한다. 신동호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