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상승·가뭄 기후변화, 계룡산·태안해안 국립공원 생태계 영향

  • 사회/교육
  • 환경/교통

기온상승·가뭄 기후변화, 계룡산·태안해안 국립공원 생태계 영향

소나무재선충 토착화되어 잣나무 수확 못해
연평균 기온 11도서 14도까지 20년간 상승
장차 계룡산 가뭄 가장 취약·태안 해수면 상승

  • 승인 2025-06-04 17:47
  • 신문게재 2025-06-05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0100301000061700001381
기후변화 영향으로 계룡산에서 관측되는 평균최고기온이 지난 20년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생명의 보고이면서 가장 안전한 국립공원 역시 기후변화의 영향권에 놓이고 있다.
기후변화가 다양한 생물의 가장 안전한 서식처인 국립공원에 영향을 미쳐 생태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계룡산에서는 지난 20년간 일 평균기온이 뚜렷하게 상승 중으로 더 나아가 국내 21개 국립공원 중 장래 가뭄에 가장 취약한 생태계가 될 전망이라는 보고가 나왔다. 태안해안 국립공원은 최근까지 해수면이 상승한 것보다 앞으로 더 빠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어두운 예측까지 겹쳐 기후 변화를 넘어 위기를 실감케 하고 있다.

환경의날을 앞두고 4일 국립공원관리공단과 국립공원연구원에 따르면, 계룡산은 식물 941종과 동물 2821종이 서식하는 생명의 보고다. 국내에서 관찰된 생물종의 약 40%가 국립공원에 서식하는데 계룡산 역시 충청권에서 살아가거나 뿌리 내린 동식물의 절반 가까이 지내는 곳이면서 시민들이 원시 자연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체험하고 있다. 그러한 계룡산 국립공원에서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이해되는 생태계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소나무를 시들어 고사하는 재선충병이 토착화되어 올해도 이미 4월 계룡산과 대전현충원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해 관계 기관이 방재에 돌입했다. 2년 전 소나무 재선충을 예방하는 살충제 농약을 대대적으로 주사했으나 다시 발병한 것으로 계룡산 사유지의 잣나무 열매는 수확해도 유통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상황이다.

계룡산1
기상청이 계룡산에서 관측하는 기온의 변화는 기후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20년간의 날마다 최고기온의 평균값을 관측한 결과 2005년 11.2도에서 2013년 13.1도 그리고 2024년 14.7도까지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계룡산에서 낮 최고기온 30도를 넘는 날도 11일이나 계속됐다.

가파른 기온 상승과 최고기온의 변화처럼 환경요인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생물마다 달라 개체 수가 감소하거나 고사하고 지리적 범위도 고지대로 옮겨가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더욱이,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실시한 전국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 조사에서 충남의 계룡산과 태안해안 국립공원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으로 파악됐다. 계룡산은 전국 21개 국립공원 중 2050년 가뭄이 가장 크게 증가할 곳으로 지목된 데 이어, 폭염은 지금도 연 17일 이상 발생하고 이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영남 지방에 높았던 폭염이 이제는 충청도와 경기도 등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태안해안 국립공원은 인근 해역 중 해수면 상승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게 공단의 설명이다. 해수면 편차가 2012년보다 2021년 4.1㎝ 벌어졌고, 과거 10년 상승량보다 앞으로 10년 사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생태계 변화 조사는 아고산식물과 상록침엽수처럼 고지대 위치한 생태계에 집중되어 계룡산과 속리산 등의 중부권 식생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10월31일 금요일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1. [현장취재]대전을 밝히는 이름, 아너소사이어티
  2.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5.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