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애창곡 1위 '좋은 날', 너도나도 '삼단 고음' 도전

  • 핫클릭
  • 방송/연예

2011 애창곡 1위 '좋은 날', 너도나도 '삼단 고음' 도전

2위 임재범 '너를 위해, 3위 이은미 '애인 있어요'

  • 승인 2011-12-19 18:01
2011년 국민들을 가장 열광하게 만들었던 애창곡은 무엇일까?

영상가요반주기 업체인 금영에 따르면 1위는 바로 아이유의 ‘좋은 날’이다. 아이유는 이 노래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2위는 임재범의 ‘너를 위해’가 차지했고,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가 뒤를 이었다.

‘좋은 날’은 아이유의 세 번째 미니앨범 ‘Real'에 수록된 타이틀곡이다. 기존의 귀여운 이미지를 한층 더 부각시키는 한편 음원 유출과 동시에 ‘삼단 고음’으로 화제를 모았다. 노래 후반부에 가장 높은 음의 멜로디를 한 키씩 올려가며 긴 호흡과 가창력을 유감 없이 보여줘 감탄을 자아냈다.

또한 노랫말 속에 ‘나는요, 오빠가 좋은 걸’이라는 말은 아이유를 좋아하는 남성팬들을 자극시키기에 충분했다. ‘아이유 앓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였다.

많은 국민들은 아이유의 ‘삼단 고음’에 도전하고자 이 노래를 열창했고 또 많은 여성과 남성들이 아이유의 귀여움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2011년 애창곡이 다른 해와 다른 점이 있다면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우후죽순 생겨남으로 인해 프로그램 내에서 유행이 됐던 노래가 상위권에 많이 랭크됐다는 것이다.

특히 케이블채널 Mmet ‘슈퍼스타K2’가 배출해낸 우승자 허각은 총 5곡을 순위에 올려 가장 많은 노래를 100위권에 올린 뮤지션이 됐다. ‘행복한 나를’(4위), ‘언제나’(7위), ‘하늘을 달리다’(9위) ‘Hello’(20위), ‘나를 잊지 말아요’(53위) 등 모두 상위권이다.

또한 강승윤의 ‘본능적으로’도 5위에 올랐다. 기존 윤종신의 곡으로 별다른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리메이크해 강승윤이 부르면서 새로운 인기몰이를 했다. [노컷뉴스/중도일보 제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1.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2.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3.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4.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5.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