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선악의 경계는 무엇일까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공감] 선악의 경계는 무엇일까

  • 승인 2017-07-18 14:46
  • 신문게재 2017-07-19 22면
  •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한다. “선악의 기준이 뭡니까” 하고 물어보면 “글쎄요”라고 말할 뿐 대답하는 사람이 매우 드물다. 선은 남을 돕는 것이고 악은 살인하거나 훔치는 것이라는 식으로 대답할 뿐이다. 사실 선악의 문제는 매우 어려운 철학적 명제로 고금의 철학가들도 명확하게 개념을 정의한 사람이 드물다. 우리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며 살지만 정작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지는 정확하게 모른다. 일반적인 통념에 의해서 선악을 판단할 뿐이다.

선악의 개념이 어떠하든 간에 매일 끊임없이 누군가는 선을 실천하고 누군가는 악행을 저지른다. 세상이 유지되는 비결이다. 악행은 범죄로 이어져 세상의 질서를 어지럽힌다. 악이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선악을 판단할 수 있는 양심과 도덕을 교육하고 경찰과 검찰 법원 사법부 등을 설치하여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고 범죄자를 처벌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모든 악이 사라지기를 원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유사(有史)이래로 한순간도 악이 사라진 적은 없다. 한때는 범죄와의 전쟁을 하며 세상에서 악을 뿌리 뽑으려고 애썼지만 여전히 수많은 악이 사라지지 않고 공존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 세상에서 악은 없앨 수 있는 대상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사실 선은 악을 상대로 한 말이다. 악이 없다면 선도 없다. 선악은 마치 정반대의 개념인 것처럼 보이지만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늘 한 몸으로 따라다닌다. 예를 들면 이번에 개혁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검찰은 범죄자를 색출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그들의 권력은 국가로부터 주어졌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범죄자를 색출했을 때 강해진다. 검찰의 정의 실현은 범죄자를 법에 기준하여 정당하게 처단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아이러니하게도 범죄자는 검찰이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힘이다. 범죄자가 없다면 검찰 조직이 과연 필요할까. 이런 관점으로 볼 때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범죄자는 검찰의 고객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악(범죄자)의 기반위에 선(검찰)이 서있는 형상이다.

선악은 종교에서 말하는 것처럼 천사와 악마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에서 판가름된다. 인간의 욕망 그 자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자신의 꿈을 발전시켜 사회적으로 실현하려는 뜻과 부귀공명을 이루어 잘 살려는 의지가 욕망에서 나온다. 다만 그것을 추구하는 방식이 그릇되거나 지나치게 되면 누구나 악으로 갈 소지가 다분하다. 선악의 갈림길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달려 있다. 선비들은 욕망을 조절하기 위해 수양하고 공부했다.

욕망의 인간은 지위고하에 상관없이 누구나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 특히 능력과 권력을 가진 자의 삐뚤어진 욕망은 사회적 파괴력과 영향력이 더욱더 크다. 앞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이다.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고 영생을 도모하며 기술융합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시대이다. 인간의 욕망과 융합기술이 결합할 때 어떤 시대가 펼쳐질 지 아무도 모른다. 인간의 욕망을 관리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