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 찬성" 직장인 90% 바라지만... 시행기업 15% 불과

  • 사회/교육
  • 노동/노사

"유연근무제 찬성" 직장인 90% 바라지만... 시행기업 15% 불과

  • 승인 2018-02-21 09:05
  • 최고은 기자최고은 기자

 

유연 근무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1007명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직장인 90.4%는 '유연근무제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워라밸'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면서 근로자가 개인 여건에 따라 근무 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도입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 도입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업무 효율성 및 업무 만족도가 크게 증가할 것 같아서란 의견이 5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불필요한 야근, 추가 근무가 줄어들 것 같아서(23.8%) △육아, 원거리 출근 등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16.0%)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반대하는 이유는 △유연근무제를 적용할 수 없는 직무가 많기 때문이란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근무시간이 달라져서 업무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22.7%) △의도적으로 근무시간을 줄이는 등 악용 사례가 발생할 것 같아서(21.6%) 등의 의견이 있었다.  

 

유연 근무제 22

 

한편, 이번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 10명중 9명이 유연근무제를 찬성했으나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은 15.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 형태별로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31.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외국계기업 27.6% △대기업 24.1% △중견기업 14.0% △중소기업 13.1%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범위는 △전 직무에서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기업이 31.8%였으며 나머지 68.2%는 일부 직군에 한해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직군으로는 △영업직군이 응답률 23.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판매·서비스직군(22.9%) △생산·기술직군(21.9%) △경영지원 직군(21.0%) 등의 순이었다.

도입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로는 출퇴근 시간 선택이 가능한 △자율 출퇴근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기업이 37.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총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자율적 근무 스케줄이 가능한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운영하고 있다는 기업도 26.0%로 나타났다. 이 외에 는 주 5일 근무 보다 근무 시간이 짧은 △단시간 근무제(10.4%) △재택근무제(6.5%) 등의 순이었다.

최고은 기자 yeonha615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사직야구장 재건축 국비 확보, 2031년 완공 목표
  2.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3.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4.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5.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1.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5. 홍영기 건양대 부총장, 지역 산학협력 활성화 공로 교육부장관상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복공판 공사 계약 과정에서 입찰 부정이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복공판 공사 기법이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필요했고, 업체 선정 과정 역시 관련 규제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30일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은 시청 기자실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제기한 복공판 공사 업체 부정 입찰 의혹 등에 "업체 선정은 대전시가 요청한 조건을 맞춘 업체를 대상으로 역량을 충분히 검토해 선정했다"라며 "사업 내용을 잘 못 이해해 생긴 일이다. 이번 의혹에 유감을..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