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한여름밤 샤워 후엔?

  • 전국

[우난순의 식탐]한여름밤 샤워 후엔?

  • 승인 2018-07-20 09:0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80719_152324869
나는 수박을 먹는다. 체질상 추위를 많이 타는 이유로 겨울은 딱 질색이다. 나에게 겨울은 그야말로 인고의 계절이다. 하여 여름이 오면 내 세상인 셈이다. 옷 입기도 간편하고 무엇보다 수박이 나오는 계절 아닌가. 참외는 있으면 먹고 없으면 굳이 찾지 않는데 수박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그래서 여름이 되면 일주일에 수박 한 통씩을 먹는다.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 않는 수박. 아, 신은 어찌하여 이토록 훌륭한 과일을 지상에 내려보내 주셨을까. 이런 나를, 수박을 좋아하지 않는 언니는 쳇! 하고 비웃기 일쑤다. 뭐 개인의 취향이니까 어쩔 수 없지만 하여간 언니집에 갈 때 수박 사들고 가는 건 예의에 굉장히 어긋나는 행동이다. 그런 언니도 어렸을 적엔 잘 먹긴 한 것 같은데 말이다.

식구가 많은 우리 집은 먹어도 먹은 표가 안 났다. 6남매를 둔 엄마가 종종 하던 얘기가 있다. 시루떡을 한 시루 쪄서 먹여도 먹었다는 놈은 하나도 없었단다. 입이 많은 지라 밥상머리에서 아귀다툼이 벌어질 수밖에 없었다. 지금처럼 풍요로운 시절이 아니어서 그땐 누구네라 할 것 없이 삶이 곤궁했다. 여름 날 수박장수가 구루마로 수박, 참외를 가득 싣고 동네 정자나무 아래 나타나면 동네는 그야말로 잔칫집 분위기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마냥 들떠 초여름에 수확한 보리를 집집마다 고무 다라이에 담아와 어른 머리통만한 수박을 사간다. 당시 시골의 시장 논리는 물물교환이 지배적이었다. 쌀, 보리, 콩, 계란, 닭 등 집에서 키운 것들을 생필품과 맞바꾸는 형식이다.

잊혀지지 않는 아이가 있다. 상구라는 아이인데 나보다 한 살 아래였다. 한번은 그 애가 정자나무 아래 땅에 떨어진 참외껍질을 주워 먹고 있었다. 흙묻은 참외껍질을 아무렇지 않게 우적우적 씹어 먹었다. 걔네 집은 동네가 떠들썩할 정도로 늘 불화가 심했다. 상구 엄마는 호랑이 같은 시아버지한테 딱히 이유도 없이 쫓겨나 한참만에 집에 돌아오기 일쑤였다. 그런 이유로 상구와 동생들은 밥도 제대로 못먹고 상거지 같은 몰골로 헤매는 게 다반사였다. 참외 껍질을 먹는 상구를 본 아주머니들이 혀를 차며 상구 당숙 할머니를 불렀다. 신수가 훤한 면장 사모님인 상구 당숙 할머니는 상구에게 참외 한 개 쥐여주며 귀찮은 파리 쫓듯 집으로 보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는 『안나 카레니나』의 첫 구절처럼 불쌍한 상구네만 빼고 그 날은 집집마다 수박 뽀개지는 소리가 요란했을 터다. 수박을 잘라 보면 간혹 속이 허연 덜 익은 수박도 나온다. 그러면 달리기 잘하는 오빠가 수박장수한테 갖고 가 바꿔오기도 한다. 우리는 점심은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각자 수박 반 통씩을 차지하고 마루에 둘러 앉아 엄마의 묘약을 기다린다. 엄마는 각각의 빨간 수박 속 위에 흰설탕을 한 수저씩 뿌린다. 그러면 우리는 수저로 수박 속을 판 다음 설탕과 섞어 퍼먹는다. 그냥 먹어도 충분히 달지만 엄마에게 설탕은 모든 음식의 맛을 결정하는 엑기스인 셈이다.



미적 감각이 섬세한 예술가들은 과일도 무심히 보아 넘기지 않는다. 일본의 '문제적 사진작가' 아라키 노부요시는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잘 다뤘다. 성장과정이 남달랐던 만큼 그의 작품은 독특해 늘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사진이 포르노에 가까워 변태라고 비난받았지만 개의치 않았다. 아내를 모델로 삼기도 한 아라키의 작품은 그야말로 에로틱의 정수를 보여준다. 아라키는 수박을 남성 욕망의 메타포로 간주했다. 기모노 입은 여성과 빨간 수박. 뭔가 수상쩍지 않은가. 짙은 화장을 한 기모노를 입은 여인이 쪼그리고 앉아 양 손으로 수박을 움켜쥐고 먹는다. 앞에는 빨간 속살을 드러낸 깨진 수박이 아무렇게나 놓여 있다. 사물의 정체성이 예술을 통해 달라질 때의 쾌감!

대기가 지글지글 끓는 이 염천에 나는 여름을 만끽한다. 더위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들으면 눈 흘기겠지만 겨울을 견딘 보상이라고 생각하련다. 수박이 젤 맛있을 때는 따로 있다. 퇴근 후 저녁 먹고 공원에서 운동 후에 먹는 수박은 나를 겸허한 인간으로 만든다. 적어도 그 순간만큼은 그렇다는 거다. 파김치가 된 몸을 질질 끌며 퇴근하는 레미제라블의 고단한 인생들. 이들은 무엇으로 위안을 삼을까. 땀에 절은 몸을 샤워 후 대접에 수박을 가득 퍼 담아 TV 앞에 앉는다. 이럴 땐 시시껄렁한 오락 프로를 보는 게 제격이다. 입 안에서 사르르 녹는 수박을 먹으며 낄낄거리는 내 인생이 과히 시시하진 않다. 한 가지 성가신 게 있다. 자다가 화장실에 가야 한다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과즙 덩어리 수박이니 감수할 수밖에. 그렇다고 변기가 깨진 적은 없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임영웅 VS 장윤정 전국구 트롯 신동 김태웅의 선택은?
  2.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3. [월요논단] 노무현 대통령의 꿈, 행정수도 완성(?)
  4.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5.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1. 李대통령 취임 첫 충청 찾았지만 홀대론 불식 역부족
  2. 대전 동구, '신촌누리길' 조성 완료
  3. 대전시, 아시아 최고 가성비 여행지로 우뚝
  4. 대전 중구, 대전 최초'모바일 행복e음' 선보여
  5. [오늘과내일] 최초의 근대식 학교 배재학당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와 미스매칭 반복… 최민호 시장, 서한문으로 노크

이재명 정부와 미스매칭 반복… 최민호 시장, 서한문으로 노크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인 최민호 세종시장이 이재명 새 정부와 계속되는 미스매칭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정당이 다르고 미래 세종시 비전에 대한 시각차가 분명한 만큼, 이는 불가피한 현실 지점으로도 읽힌다. 문제는 갭 차이가 너무 크다는 데 있다. 공통 분모는 행정수도 이전과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의 조속 추진, AI 국가첨단전락산업 특화단지 조성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세종시가 대선 기간 제시한 26개 공약안 대부분은 수용되지 않았다. 정당과 무관한 지역 현안임에도 그러했다. 최 시장의 의중이 상당 부분 반영된 ▲국가 메가..

레오 교황, 이재명 대통령·김정은 국방위원장과 사진 찍을까
레오 교황, 이재명 대통령·김정은 국방위원장과 사진 찍을까

레오 교황과 이재명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만남이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명의 만남에 대한 얘기는 이재명 대통령이 7일 한국을 방문 중인 충남 논산 출신의 유흥식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추기경)을 접견한 자리에서 나왔다. 이날 오후 2시에 시작한 접견에서 이 대통령은 “한국의 천주교회가 인권과 평화에 관심도 많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회복하는데 참으로 큰 역할을 해줘 국민을 대표해 감사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천주교회와 관련한 현안 중에 2027년 가톨릭 세계청년대회가 있다”며 “가능하면 교황께서 오실 거 같긴..

식품·유통업계, 라면과 빵 등 50% 할인... 고물가 시대 서민 부담 낮아지나
식품·유통업계, 라면과 빵 등 50% 할인... 고물가 시대 서민 부담 낮아지나

정부와 식품·유통업계가 먹거리 물가 부담을 낮추기 위해 대규모 할인 행사를 한다. 대형마트와 편의점들은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라면과 빵, 커피 등을 최대 50% 싸게 판매하기로 하면서 고물가 시대 서민들의 부담이 낮아질 전망이다. 7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식품·유통기업들과 간담회를 열고 안정 방안을 논의해 여름 휴가철에 가공식품 할인 행사를 하기로 했다. 정부와 여당은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어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6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4.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한 달 앞으로’ 대전 0시 축제 ‘한 달 앞으로’

  • 휴가철과 방학 앞두고 여권 발급 증가 휴가철과 방학 앞두고 여권 발급 증가

  •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